발행일
2025-11-26 11:05 (수)
최신뉴스

인천뮤지엄파크 운영 논의 본격화···유홍준 국중박 관장 등 전문가 협력

이달 28일 정책 포럼 개최
박물관·미술관 공존 모델 점검

인천투데이=인투아이(INTO-AI)·현동민 기자│인천시가 조성 중인 ‘인천뮤지엄파크’ 운영 모델과 기관 간 상생 전략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인천시립박물관은 오는 28일 인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인천뮤지엄파크, 박물관과 미술관 어떻게 상생할 것인가?’를 주제로 정책 포럼을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박물관과 미술관을 한 공간에 통합한 구조가 실제 협업으로 이어지기 위한 방향을 전문가들과 함께 모색하는 자리다.

인천뮤지엄파크 조감도.(사진제공 인천시)
인천뮤지엄파크 조감도.(사진제공 인천시)

2028년 개관 예정인 인천뮤지엄파크는 박물관과 미술관이 같은 공간에 들어서는 국내 첫 통합형 뮤지엄으로, 상호 보완적인 운영이 가능한지에 관해 꾸준한 관심을 받아왔다.

이번 포럼에서는 조직 운영 구조부터 전시 협업, 콘텐츠 개발까지 양 기관이 실질적 융합을 이뤄낼 수 있는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된다.

박물관·미술관 조화 위해 전문가 머리 맞댄다

기조강연은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이 맡는다. 유 관장은 박물관·미술관의 경계를 넘어선 새로운 형태의 뮤지엄 실험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인천뮤지엄파크가 어떤 공공문화 모델로 자리 잡아야 하는지 방향성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발표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의 협업이 실제 운영 구조에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 다양한 관점이 제시된다.

최영화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해외 사례를 토대로 효율적인 통합 운영 체계를 소개하며, 뉴욕 메트로폴리탄 뮤지엄처럼 관장은 경영과 기획을 총괄하고 전시 운영은 전문 조직에 맡기는 방식이 효과적이라고 제안했다.

기량 전 국립민속박물관 전시운영과장은 단순한 물리적 통합을 넘어 두 기관이 창의적 협업을 통해 ‘화학적 결합’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진정한 융합이 가능할 때에만 새로운 콘텐츠 생산과 공동 전시 등 뮤지엄파크의 본래 취지가 실현된다”고 말했다.

박소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해외 통합뮤지엄 사례와 함께 운영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쟁점을 짚으며, 통합 구조가 갖는 장단점을 비교 분석할 예정이다.

발표 이후에는 김정화 전 서울공예박물관장이 좌장을 맡아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토론에는 장상훈 국립민속박물관장, 송수정 국립현대미술관 전시과장, 김락기 한국근대문학관장이 참여한다.

김태익 인천시시립박물관장은 “인천뮤지엄파크는 국내에서 시도된 적 없는 구조로,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폭넓은 의견 수렴과 준비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포럼으로 인천이 새로운 뮤지엄 모델을 개척하는 기반이 마련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 이 기사는 AI 프로그램 챗지피티5.1을 활용해 작성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