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본회의, 허식 의원 시정질의
“해양항공국 과 7개 중 항공분야 1개뿐”
UAM·MRO 등 인천공항경제권 조성 무색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인천시가 항공우주산업 선도도시를 표방하고 있지만, 정작 이를 도맡을 예산과 인력조직은 부족해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인천국제공항을 필두로 도심항공교통(UAM)·항공정비(MRO) 등 산업을 육성해 공항경제권을 만들겠다는 구상이 무색하다는 지적이다.
5일 열린 인천시의회 제295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시정질의에서 허식(무소속·동구) 시의원은 인천시 항공우주 분야 담당 업무를 맡는 부서가 항공과 1개뿐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허 의원은 “인천시 해양항공국 부서로 과 7개가 있다. 그 중에서 6개는 모두 해양항만 업무를 수행하고, 항공과는 1개뿐”이라며 “항공산업 육성을 위해 국토교통부는 수많은 부서가 있는데, 인천시는 예산도 부족하고 항공우주산업에 대한 관심이 너무 적다”고 꼬집었다.
이어 “인천시는 로스앤젤레스(LA), 파리, 뮌헨 등 세계 도시들과 연구기관들이 합류한 도심항공교통 국제협력체(GURS, Global UAM Regional Summit) 의장도시다. 그러면서 고작 과 1개가 모든 항공산업 업무를 맡는 건 무리 아니냐”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시 조직도 그렇지만, 항공산업 지원을 위한 예산이 부족한 것 같다. 정부의 항공산업 육성에 부응하기 위해서라도, 항공분야 과를 신설해 UAM·MRO·우주방위산업 등을 세분화해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박덕수 행정부시장은 “항공분야에서 중앙정부에 비해 지자체는 권한이 적다. 여러 항공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MRO단지나 UAM 등 관련사업의 행정수요가 아직 조직을 확대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항공우주 분야가 향후 성장세가 기대되고, 인천의 성장동력이 돼야 한다는 점에 공감한다. 항공우주 분야 조직이 적정하게 준비될 수 있게 검토하겠다”며 “시의회에서도 조직과 예산 확대가 뒷받침될 수 있게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