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일
2025-11-26 13:10 (수)
최신뉴스

유승분 시의원 "인천 해양주권 재정립해야, 독립 해양국 신설 필요"

부산 이전 추진되는 해수부, 인천항 경쟁력과 극지연구소 잔류 방안 제시

인천투데이=현동민 기자│유승분(국민의힘, 연수구3) 인천시의회 의원이 25일 열린 시의회 제303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인천 해양주권이 흔들리고 있다”며 독립된 ‘해양국’ 신설과 해양정책 역량 강화를 촉구했다.

유 의원은 “해수부는 지난 7월 부산시와 합동으로 ‘이전지원팀’을 신설해 연내 이전을 공식화했다. 국내 논란에도 불구하고 기조 자체는 흔들림이 없다. 이대로 가면 수도권 서해 축의 현안 대응 속도가 저하되고, 인천 해양 영향력 약화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유승분 인천시의원 (사진제공 인천시의회)
유승분 인천시의원 (사진제공 인천시의회)

"극지연구소 이전 제외 확인··· 안전장치 촘촘히 걸어야"

유 의원은 최근 문제 제기가 나왔던 송도 소재 극지연구소(KOPRI) 이전설과 관련해서도 언급했다.

앞서 지난 7월 28일 해수부 부산 이전에 이어 극지연구소를 포함한 해양 관련 기관 11곳이 추가 이전 대상에 올랐으며, 이중 극지연구소도 포함돼 인천 지역 사회 반발을 불렀다. 

·[관련기사] 인천 극지연구소도 부산가나... 해수부 기관 11곳 '싹쓸이'

이에 유 의원은 “해수부 산하기관 중 의무 이전 대상에서 극지연구소가 제외된 것으로 확인됐다. 안심할 일은 아니지만 최소한 인천 잔류 근거가 마련된 만큼 법적·행정적 안전장치를 더 촘촘히 걸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인천항 물동량 성장과 어업권 확대, 인천항 경쟁력 분명"

이어 유 의원은 “지난해 국내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은 3173만 TEU로 역대 최대였고, 인천항은 350만 TEU를 넘으며 자체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단순히 수도권 배후 수요 덕분이 아니라 인천항 경쟁력의 결과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해 서해5도 조업어장을 169㎢ 확대해 어업권을 확보한 성과도 반짝 이벤트가 아니라 제도화와 재정화로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천 살아남는 길은 바다 선도하는 것...해양국 신설, 거점기관 설립해야”

유 의원은 해양항공국 체제의 한계를 지적하며 독립된 해양국 신설을 공식 제안했다.

그는 “해양국 신설과 함께 산학연 클러스터로 기능할 ‘해양수산산학진흥원’ 설립, 물류 고도화와 그린포트(친환경 항만) 전략, 북방항로 대응 등 인천항 경쟁력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창했다.

·[관련기사] 해사전문법원 유치 나선 인천시... “해양대·산학진흥원 설립 먼저”

그러면서 "극지연구소 인천 잔류 제도화와 쇄빙연구선 연계 교육·국제협력도 병행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끝으로 유 의원은 “해양도시 인천이 살아남는 길은 단순히 바다를 지키는 것을 넘어 바다를 선도하는 것”이라며 “오늘 제안한 전략이 인천 정체성을 확립하는 길이다. 유정복 시장 결단과 즉각적인 추진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