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원 확보 방안 불투명 비영리법인 대안으로 떠올라
3월 협의체 구성해 재검토…설립 방향 모색 본격화
인천투데이=현동민 기자│인천시가 수도권 최고 해양항만도시의 위상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해양수산산학진흥원 설립이 재원 마련과 제도적 기반 부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인천에 있다가 사라져 없는 해양대학 부재를 보완할 대안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구체적인 설립 방안 도출까지는 상당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12월 12일 시 해양항공국장, 해양수산협력관, 학계 교수 등 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해양수산산학진흥원 설립을 위한 의견수렴을 진행했다.
[관련기사] 해양대학 없는 인천 ‘해양수산산학진흥원 설립’ 돌파구 찾는다
그러나 설립을 두고 좀처럼 가닥을 잡지 못하는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지난 12일 자문회를 진행했다. 그러나 설립과 관련해 명확히 방향을 잡지 못했다. 1분기쯤 설립을 위한 협의체를 다시 구성해서 논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출자·출연 기관 설립을 위해서는 안정적인 재원 확보가 필수적이다. 현재 중앙정부가 지방 출자·출연기관의 통폐합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시가 선뜻 나설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설립을 위한 제도적 방안도 미비한 상황이다. 인천 해양·항만·수산 분야 연구와 인력양성을 책임질 전담기구(당초 해양항만산학융합원) 설립은 민선 8기 유정복 인천시장 공약인 제물포르네상스와 뉴홍콩시티 추진계획에 이미 담긴 바 있다.
하지만 각 지자체에서 ‘융합원’이라는 명칭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하는 산학융합지구 조성사업을 기반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산자부의 추가 산학융합지구 공모계획이 없자, 시는 대신 ‘진흥원’이라는 명칭으로 전담기구를 설립 추진 중이다.
"먼저 비영리 사단법인 설치 고려 중"
시 관계자는 “비영리 사단법인을 설치해 구성체 등 형태를 만들어 놓고 점차 키워나가자는 의견도 나왔다. TF가 아닌 정례화한 협의체 구성에 뜻을 모으는 중”이라고 전달했다.
그러면서 "해상풍력부터 환경까지 해양 관련 산업 분야가 방대해 명확한 조직 목적과 사업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올해 초 새로운 협의체를 구성해 타당성 검토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인천항만공사, 인천해수청, 인하대 등 지역 해양수산 분야 산·학·연 전문가들로 새로운 협의체를 구성해 오는 3월 내 진흥원 설립의 타당성을 재검토할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