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공사, 송도 9공구 골든하버 단계별 매각 추진
총 면적 42만㎡ 모두 매각 성사 시 기대수익 1조 넘어
항만민영화 논란 배후단지 188만㎡ 공공매입 충당 가능
해수부, 인천신항 난개발 부작용 차단 추가대책 필요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인천항만공사가 송도국제도시 9공구 골든하버 용지를 매각할 경우 1조원 이상의 수익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수익을 활용해 인천신항 배후단지 민간개발 용지를 공공매입하면, 항만 공공성 훼손과 난개발을 차단할 수 있다는 제안이 나온다.
ㆍ[관련기사] 인천항 골든하버 용지 추가 매각… 재무개선·투자유치 ‘일석이조’
ㆍ[관련기사] 해수부, 인천신항 배후단지 민간개발 재추진... 공공성 뒷전
천항만공사, 송도 9공구 골든하버 단계별 매각 재무개선
인천항만공사가 올해 창립 20주년을 맞아 지난 9일 발표한 주요업무계획과 2035년까지 중장기 계획을 보면, 올해 공사 부채비율을 62.6%까지 낮추고, 2035년에는 부채비율 50%를 달성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지난해 10월 국회 농해수위 국정감사에서 제출된 자료를 보면, 2023년 상반기 기준 인천항만공사 부채비율은 66.1%로 1조5382억원에 달했다. 이는 전년 대비 12.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부채로 인해 공사가 최근 5년간(2020~2024) 납부한 이자만 1419억원이었다.
이에 인천항만공사는 총면적 42만7657㎡(약 13만평) 11개 필지에 이르는 송도 9공구 골든하버 용지를 매각해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골든하버는 인천항 국제여객터미널 인근에 위치한 해양문화관광 복합단지로, 테마파크, 쇼핑몰, 호텔 등 대규모 관광 인프라가 조성될 예정이다.
총 면적 42만㎡ 모두 매각 성사 시 기대수익 1조 넘어
앞서 공사는 지난 2023년 12월 필지 중 2개(Cs8·9) 9만9000㎡를 약 2688억원에 인천경제청에 매각했다. 이어 지난해 6월에는 면적 1만6531㎡ 규모의 필지 1개(Cs1) 매각을 위한 사업자 모집을 개시했다. 토지 매매 예정가격은 약 460억원이다.
토지매각 내용을 보면, 골든하버 토지 3.3㎡(1평)당 가격은 약 900만원으로, 전체 면적을 모두 매각할 시 얻는 수익은 1조1000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장기적으로 인천항만공사 부채를 모두 해소하고도 남는 금액이다.
이에 따라 골든하버 매각 수익으로 난개발·해피아 논란으로 항만 공공성 훼손 우려를 낳고 있는 인천신항 배후단지 민간개발 용지를 공공매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항만민영화 논란 배후단지 188만㎡ 공공매입 비용 충당 가능
현재 인천신항 배후단지 민간개발 규모는 188만㎡에 이른다. 국제규격 축구장(7140㎡) 263개에 달하는 면적이다. 전체를 조성하는 데 투입되는 총사업비가 약 3490억원이다. 조성 이후 땅값을 계산하더라도 최대 1조원을 넘지 않을 거라는 전망이 나온다.
가장 먼저 사업시행자인 HDC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인천신항배후단지(주))이 1371억원을 들여 인천신항 배후단지 1-1단계 2구역(약 94만㎡)을 조성했다. 사업시행자가 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할 경우 최대로 가져가는 땅은 45만6000㎡이며, 가격은 약 4736억원이 될 전망이다.
이어 GS건설과 HDC현대산업개발 등 6개사가 참여한 컨소시엄 인천신항스마트물류단지(주)가 조성할 예정인 인천신항 배후단지 1-1단계 3구역(54만㎡)과 1-2단계(41만㎡) 총사업비는 2119억원이다. 앞선 민간개발과 마찬가지로 5000억원 수준의 땅을 가져갈 수 있다.
해수부, 인천항 난개발 부작용 차단 추가대책 필요
여기에 해수부가 전향적인 자세로 민간사업자의 우선매수청구권을 제한하고, 과도한 개발이익 제한을 위한 분양가 상한제를 강화한다면, 공공매입 비용은 더욱 낮출 수 있다. 아울러 배후단지 분양가 안정으로 인한 항만경쟁력 강화까지 도모할 수 있다.
최정철 인하대 지속가능경영학과 교수는 “현재 민간개발 중인 인천신항 배후단지 용지를 모두 공공매입·임대 방식으로 전환하고, 안 그래도 부족한 컨테이너 운반용 차량 주차장을 대규모 확보해 물류기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