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인천시 항공금융 정책방향 연구’ 발표
“전통 항공제조업은 경남 사천에 불리 차별화해야”
부산시, 해양선박 금융 지역특화 각종 기관 유치
인천투데이=이종선·인투아이(INTO-AI) 기자 | 인천시가 항공산업 육성을 위해 지역특화금융을 조성·유치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22일 인천연구원이 발간한 ‘인천시 항공금융 정책 방향 연구(윤석진 연구위원)’ 보고서를 살펴보면, 공적 신용보증기구와 항공분야 정책펀드 조성 등 인천시 항공산업 발전을 위한 지역특화금융 유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구원은 인천시가 인천국제공항을 필두로 항공산업의 중심지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이를 활용한 금융산업 분야는 발전이 더디다고 지적했다.
항공금융은 항공기 도입과 운영, 유지보수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다양한 금융 활동을 포함한다. 대부분 항공운송사업자는 항공기 구매보다는 항공금융을 활용한 임대·리스로 유연한 사업운영을 선호한다.
아울러 항공기 도입을 위한 금융은 대규모 자금이 동원된다. 따라서 지역 차원에서는 항공금융 관련기관을 유치하는 게 효율적이다. 대표적으로 국토교통부가 설립을 추진하는 항공산업발전조합을 인천으로 유치하는 방안이 있다.
또한 연구원은 국내 항공기와 항공부품 제조업은 주로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입지하고 있어 전통적인 항공기 제작 지원을 위한 금융투자를 유치하는 것은 어렵다고 봤다. 이에 드론·도심항공교통(UAM)·항공정비(MRO) 등 분야의 금융투자 수단을 발굴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게 합리적이라 판단했다.
인천연구원은 다른 지자체의 지역특화금융 추진 사례도 제시했다. 부산시의 경우 선박금융(해양금융)을 지역에서 발전시키기 위해 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산업은행의 선박금융 부문을 지역으로 유치했다. 또한 한국해양진흥공사의 설립을 건의하고 지역으로 유치했으며, 해양금융종합센터를 설립해 운영 중이다.
이어 인천연구원은 항공금융을 육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항공산업발전조합 출자와 인천지역 유치 ▲정부에 항공산업 분야 보증기구 설립 제안 ▲UAM·드론 등 신규 항공교통 분야 집중 투자 정책펀드 운영 ▲항공금융 조성 관련 조례 제정 ▲항공금융 정책포럼 운영 등을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