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지역언론 지원사업] 정전협정 70주년 ⑥
한반도 화약고 연평도 방문, 망향대서 보는 북측
NLL 불법 중국어선 수십척, 남북 평화대화 필요

인천투데이=이재희·김현철 기자│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 국제연합군 대표인 윌리엄 해리슨(William K. Harrison) 미국 육군 중장과 남일 조선인민군 대장이 판문점에서 만났다.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을 중지하는데 교전 양측이 합의한 ‘한국정전협정(Korean Armistice Agreement)’을 위해서다.

이 협정의 정식명칭은 ‘국제련합군 총사령관을 일방으로 하고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및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을 다른 일방으로 하는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Agreement between the Commander-in-Chief, United Nations Command, on the one hand, and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on the other hand, concerning a military armistice in Korea)‘이다.

정식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국제연합군 총사령관 마크 클라크(Mark. W. Clark) 미국 육군 대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 김일성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펑더화이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이 협정에 서명한 주체이다.

미 육군 중장 해리슨과 조선인민군 대장 남일이 만나 3자가 합의한 협정서를 교환했으며, 합의 12시간 후인 1953년 7월 27일 오후 10시를 기해 발효됐고, 이는 한반도 정전체제의 기본 규범으로 남아있다.

대한민국은 정전협정의 당사국은 아니지만, 정전협정의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나라이다. 그리고 서해는 한반도의 가장 큰 화약고로 불린다.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은 인천의 모습을 돌아본다. <기자말>

올해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평화기행’을 주제로 인천 옹진군 연평도를 방문했다.

지난 9월 16일부터 17일까지 1박 2일 동안 옹진군 연평도에서 등대공원과 조기역사관, 구리동해변, 민간인 희생자 추모비, 평화공원과 연평도 포격 위령탑, 망향전망대 등을 둘러봤다.

연평도에서 바라 본 북방한계선(NLL) 일대 수역. 
연평도에서 바라 본 북방한계선(NLL) 일대 수역. 

연평도는 북측 황해남도 강령군 부포리와 불과 10km 떨어져 있는 섬이다. 연평도 내 망향전망대에서 바로 북측 땅을 바라볼 수 있다. 연평도 해안 북쪽 1.5km 해상에 북방한계선(NLL)이 있다.

연평도는 본래 황해도 해주군에 속했으나, 1938년 해주읍이 해주시로 승격되면서 당초 해주군 지역이었던 곳이 벽성군으로 편입됐다.

연평도는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38선 이남지역이라,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됐다. 이후 1995년에 옹진군이 인천시로 편입됐다.

한국전쟁 당시 피난민 수만명이 연평도를 거쳐 월남했다. 현재까지도 연평도 많은 주민들의 고향이 황해도이다.

연평도의 부속섬은 당도(당섬)과 책도, 모이도, 용뒤섬, 구지도 등이 있다. 연평도는 서해 5도(백령·대청·소청·연평·소연평도)중 하나로, 접경지역이라 현재 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남북 긴장이 가장 높은 곳이기도 하고, 실제로도 연평해전 등 남북 간 분쟁이 벌어진 곳이다. 이런 이유로 연평도 해안가를 찾으면, 해안가 인근에 둘러진 철책을 볼 수 있으며, 해안가 방어진지(콘크리트 구조물)들의 모습도 흔하게 볼 수 있다.

연평도 등대공원.
연평도 등대공원.

첫 답사 장소로 옹진군 연평면 소재 등대공원을 방문했다. 세월이 오래 지났으나 등대는 아직 위용을 자랑하고 있었다.

1636년 임경업 장군이 대연평도에서 조기를 처음 발견한 이후, 연평도 인근 해역은 1968년까지 황금의 조기파시 어장을 이뤘다.

등대공원의 등대는 1960년 첫 점등 이후로 지역 어선들의 길잡이가 된 고마운 존재였다. 그러나 1974년 박정희 정부가 간첩의 해상침투를 막는다는 국가안보를 명목으로 등대를 일시 소등했다.

그 뒤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선언으로 한반도에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2019년 5월 45년만에 재점등됐다. 하지만 여전히 북측은 가림막을 설치해 불빛을 차단하고 있다.

등대공원을 지나 위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조기역사관’이 보인다. 역사관 입구 인근에 돛을 단 조기잡이 배의 모형도 볼 수 있다.

조기 역사관.
조기 역사관.

조기역사관 내부로 들어가면 1층에 전시관이 마련돼 있다. 전시관 중앙에 놓인 연평도 모형과 그 주변으로 조기파시와 연평도에 대한 설명글과 사진들을 볼 수 있다.

연평도 근해는 황해 최대의 조기 어장으로, 매해 5월마다 조기 떼가 우는 소리에 주민들이 잠을 설쳤다는 일화가 있다. 조기 철이면 연평도에 파시가 섰기 때문에, 파시에 수천 척의 어선들과 상선들이 연평도에 몰려들었다고 한다.

조기역사관 내부.
조기역사관 내부.

2층 전망대로 올라가면 망원경으로 북측 땅을 볼 수 있고, 주변 가래칠기 해변과 해안 절경도 구경할 수 있다.

가래칠기 해변은 대연평도 남부리에 위치하며 길이는 약 1km 정도에 이른다. 해변 인근의 규암층 암석이 강한 파도작용에 의해 깎이면서 형성된 해안 절벽이다.

가래칠기 해변 중앙에 병풍 모양을 닮았다 해 이른바 ‘병풍바위’라고 불리는 색다른 모양의 해안 절벽도 볼 수 있다.

그 뒤 조기역사관을 나와 구리동 해변까지 1시간 가량 트래킹을 했다. 30분 가량 걸어 도착한 구리동 해변은 연평도 최대 규모의 해수욕장이다.

대연평도 중부리 서쪽의 구룬나루 마을 부근에 있는 해수욕장으로, 길이는 약 1km 정도이며 폭은 약 200m 정도이다.

연평도 내 모든 해변과 바다는 군사안보를 이유로 일출과 일몰 전까지만 출입이 가능하다. 또한 야영도 불가능하다.

이런 규제가 많다보니 아름다운 경관을 자랑하는 구리동 해변을 찾는 사람들이 많이 없는 것 같아 아쉬웠다. 또한 해변 양 끝에 낡은 쇠말뚝들도 방치돼 있는데, 주변 환경도 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다.

가래칠기 해변.
가래칠기 해변.

연평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연평도 망향공원과 망향전망대로 향했다. 망향공원 내 망향전망대가 있다. 이 중심에 우뚝 서 있는 망향비는 피난민들이 고향을 그리워하며 제사를 지냈던 곳으로, 날씨가 좋은 날엔 해주에 있는 시멘트 공장까지 볼 수 있다고 한다.

망향전망대에서 북한의 연백평야와 황해도 일대를 뿌연 안개 사이로 볼 수 있었다. 연평도에서 바로 지척에 있지만, 갈 수 조차 없는 현실이 안타까웠다.

망원경으로 보면 연평 앞바다 NLL에서 불법 조업하는 중국선박들도 볼 수 있었다. 이 NLL 수역 근처에선 1999년 6월과 2002년 6월 두 차례 연평해전이 발발했다.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NLL 너머 불법 조업 중인 중국어선.
NLL 너머 불법 조업 중인 중국어선.

중국어선은 낮 동안 NLL 바로 북쪽에서 조업하다가 밤에 남쪽으로 내려와 일명 ‘쌍이 어선’을 동원해 바다의 물고기와 어패류들을 모조리 휩쓸어간다.

서해5도 특별경비단이 이들을 쫓긴 하지만, 중국어선은 NLL을 이용해 교묘히 불법 조업을 이어가고 있다.

분명 한반도의 영해인데, 연평도 어민들은 북측의 어선도 남측의 어선도 아닌 중국어선이 들어와 불법 조업을 하는 모습을 손 놓고 지켜볼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그동안 남북 관계에 따라 NLL 일대 중국 어선의 증·감소 추세가 달라졌다. 남북 간 평화가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로 판문점 회담과 평양공동선언이 있었던 지난 2018년 NLL 해역 중국 불법 어선은 1만1858척이었으나, 지난 2021년에는 2만4948척까지 2배 넘게 늘었다.

이번 기행을 마무리하면서 작은 섬 연평도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었고 평화를 바라는 마음도 느낄 수 있었다.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북측과 인접해 있다는 이유로 두 차례 발생했던 연평해전과 연평도 포격 등 전쟁은 잊어선 안될 역사이다. 남북 평화를 염원하며 정전협정 70주년을 온전히 기억해야 한다.

연평도 망향전망대.
연평도 망향전망대.

※ 이 기획기사는 2023년 인천광역시 지역언론 지원사업 지원을 받았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