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지역언론 지원사업] 정전협정 70주년 ③
‘한국 전쟁 강화 교동도 민간인 학살 역사’ 다크투어
북측 땅 보이는 ‘고려천도공원’과 ‘타이거부대 충혼비’
연백평야서 피난 온 실향민 염원 담은 ‘교동도 망향대’

인천투데이=이재희·김현철 기자│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 국제연합군 대표인 윌리엄 해리슨(William K. Harrison) 미국 육군 중장과 남일 조선인민군 대장이 판문점에서 만났다.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을 중지하는데 교전 양측이 합의한 ‘한국정전협정(Korean Armistice Agreement)’을 위해서다.

이 협정의 정식명칭은 ‘국제련합군 총사령관을 일방으로 하고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및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을 다른 일방으로 하는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Agreement between the Commander-in-Chief, United Nations Command, on the one hand, and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on the other hand, concerning a military armistice in Korea)‘이다.

정식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국제연합군 총사령관 마크 클라크(Mark. W. Clark) 미국 육군 대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 김일성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펑더화이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이 협정에 서명한 주체이다.

미 육군 중장 해리슨과 조선인민군 대장 남일이 만나 3자가 합의한 협정서를 교환했으며, 합의 12시간 후인 1953년 7월 27일 오후 10시를 기해 발효됐고, 이는 한반도 정전체제의 기본 규범으로 남아있다.

대한민국은 정전협정의 당사국은 아니지만, 정전협정의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나라이다. 그리고 서해는 한반도의 가장 큰 화약고로 불린다.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은 인천의 모습을 돌아본다. <기자말>

올해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한국 전쟁 시기 강화 민간인 학살의 역사’를 주제로 강화군 교동도를 방문했다.

지난 6월 2일부터 3일까지 1박 2일동안 강화군 교동도에서 '다크투어'를 하며, 민간인 학살 현장을 둘러봤다.

다크투어란 어두운(dark)와 여행(tour)의 결합어로 과거 발생했던 비극적인 사건이나 역사의 현장들을 되새기는 여행을 의미한다.

한상욱 전 천주교 인천교구 노동사목위원회 부위원장이 해설을 맡아 민간인 학살의 비극이 발생했던 장소에서 역사적인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한상욱 부위원장이 설명하는 갑곶 선착장 집단 양민 학살지 표지판 앞에서 설명하는 모습.
한상욱 부위원장이 설명하는 갑곶 선착장 집단 양민 학살지 표지판 앞에서 설명하는 모습.

민간인 학살은 우익청년단과 강화향토방위특공대, 교동 주둔 유엔군 유격대 등에 의해 강화지역 면 12개에서 대대적으로 발생한 끔찍한 사건이다.

2007년 발표된 진실화해위원회 조사 결과를 보면 강화·석모·주문도에서 139명, 교동도에서 183명이 학살됐다.

강화도의 경우 1950년 6.25전쟁 발발 이후, 1951년 1.4후퇴 전후로 군·경·치안대와 강화향토방위특공대가 민간인 학살에 관여했다. 교동도를 비롯해 석모·서검·말·볼음·아차·주문도의 경우 해군(병)특공대와 북에서 내려온 치안대와 유격대가 학살에 관여했다.

당시 강화해병특공대는 인민군에 부역했거나 월북했던 사람들을 잡아 구금했으며, 인사리 갯골, 난정리 돌부리해안, 죽산포, 지석리 남댓골 등에서 이들을 사살했다. 현재까지 확인된 학살 시기는 1951년 1월 7일부터 17일 밤까지다.

서해안은 조수간만의 차이가 많아 밀물 시 갯골이 형성되는데, 그 시간에 마을 주민들을 갯골로 몰아넣어 무참히 학살했던 것이다. 썰물이 밀려나가면서 시신들은 바다로 흘러들어가 대부분의 시신이 수습되지 못했다.

첫 답사 장소로 갑곶돈대가 있던 옛 강화대교를 방문했다. 강화대교 입구 옆쪽 수풀이 우거진 곳에 ‘갑곶 선착장 집단 양민 학살지’ 표지판이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글자가 빛이 바래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낡아있다. 대체 누가 눈에 띄지도 않는 곳에 방치된 표지판을 보고 민간인 학살의 참혹한 역사를 계속 기억할 수 있을까.

옛 강화대교.
옛 강화대교.

북측 땅이 보이는 ‘고려천도공원’과 ‘타이거부대 충혼비’

고려천도공원은 대몽항쟁과 고려 천도의 역사를 기억하고 평화 안보 관광을 구축하고자 2019년 강화군이 조성했다.

천도문과 천도문 광장, 전망대, 수변 정자, 팔만대장경, 고려 고종 사적비 등 역사적 의미를 가진 볼거리가 다양하다.

공원 규모는 그리 크지 않았지만 공원을 둘러싼 채 세워져 있는 철책이 눈에 띄었다. 전망대로 올라가면 철책 너머 북측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강 하나를 넘어가면 북이 있다니, 새삼 분단 국가라는 사실이 와닿았다. 한편으로는 반대편 북측 사람들도 이 곳을 바라보고 있을까 궁금하기도 했다.

고려천도공원 철책 너머 보이는 북측 땅.
고려천도공원 철책 너머 보이는 북측 땅.

그 뒤 을지 타이거여단 충혼비가 있는 곳으로 이동했다. 타이거여단 특공대 기념공간은 교동 고구리 해안가와 연백평야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언덕 아래에 위치해 있다.

타이거여단은 처음 1951년 1.4 후퇴 당시 북측의 침공으로 피난하지 못한 황해도 38선 일대 청년들이 자신의 지역 방위를 위해 구성했던 유격대였다.

강화도와 교동도 용매도 등으로 철수한 대원들은 이후 식량 조달을 위해 게릴라전을 전개하던 와중 육군 첩보대와 만나 1951년 3월 ‘을지 제2병단’으로 편성됐다.

그 뒤 같은 해 4월 백령도 기지사령부 통제를 받던 부대는 미군의 제8240부대, 켈로(KLO) 부대에 예속돼 ‘타이거여단’으로 공식 개편된다.

유격군 대부분이 북측 출신이었기 때문에 미군은 이들을 통제하면서 비공식적으로 북측 연안 일대나 적지 내륙 등지에서 첩보 전략에 활용했다.

마침내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이후, 유엔군 보급 지원이 끊기고 철수 명령이 떨어지면서 타이거부대는 군번을 부여받고 해체할 수 있었다. 남은 대원들은 1992년 12월 ‘8240 국제연합한국유격전우회총연합회’로 통합됐다.

타이거여단 특공대 기념공간.
타이거여단 특공대 기념공간.

연백평야서 피난 온 실향민들 안타까움 담은 ‘교동도 망향대’

마지막으로 교동도 망향대로 발걸음을 옮겼다. 망향대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망향대 제단이 눈에 띈다.

교동도 망향대.
교동도 망향대.

망향대를 건너보면 연안읍 진산인 비봉산과 남산, 남대지 등 넓은 연백평야가 눈앞에 펼쳐진다. 여기서 소리를 지르면 반대편 연백평야에서도 소리가 울린다.

과거 교동도는 지리상 강화도와 가깝지만, 북측의 연백 지역과 가장 활발하게 교류했다. 연백 지역은 북에서 가장 따뜻하며, 평평해 농작물이 매우 잘 자라는 곳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전쟁 당시 대부분 연백 지역에서 교동도로 넘어온 많은 피난민들은 이를 임시 피난으로 생각했으며, 전쟁이 금방 끝나 돌아갈 줄 알았다고 한다.

하지만 그 계획은 이뤄지지 못해 수많은 피난민들이 고향에 돌아가지 못하고 교동도에 그대로 정착하게 된다. 끝내 많은 실향민들이 고향 땅을 가지 못하게 되자, 이들은 안타까운 마음을 모아 망향대를 세웠다.

망향대 주변에 쳐 있는 철조망에서 매달려 있는 파란색 리본을 볼 수 있다. 주로 통일과 가족, 그리움에 관한 내용이 리본에 적혀있다.

직선거리 3km도 되지 않는 거리의 고향을 다시는 가지 못하는 실향민들의 아픈 마음이 느껴졌다.

마지막으로 답사 코스로 대룡시장을 방문했다. 교동도로 피난 왔던 실향민들은 화개산 자락 밑에 임시거처를 마련했는데, 이곳이 현재의 대룡시장이다.

대룡시장.
대룡시장.

이들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연백에서 가져왔던 쌀과 잡곡 등을 서로 물물교환했는데,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자연스럽게 시장이 만들어졌다.

그래서 그런지 시장의 규모가 크지 않고 마치 달동네처럼 가게 사이가 다닥다닥 붙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시장 안에 입점해 있는 이발관이나 떡집 등 가게의 내부를 보면 마치 가정집을 가게로 만든 것처럼, 안 쪽에 문이 나 있거나 이를 막아둔 곳이 많다. 벽면에 선풍기나 신문지도 덕지덕지 붙어있어 친숙한 느낌을 준다.

대룡시장 내 교동이발관 내부.
대룡시장 내 교동이발관 내부.

대룡시장은 지난 50여년간 교동도 경제 발전의 중심지였으나, 현재 이곳에서 장사하던 실향민 1세대 노인들은 대부분 사망했고 인구도 예전보다 많이 줄었다.

그러나 지난 2014년 7월 교동대교 개통으로 교통이 편리해지면서, 대룡시장의 모습을 직접 보기 위해 찾는 관광객들이 많아졌다. 현재 주말마다 관광객들로 문전성시를 이룬다.

이번 교동도 다크투어는 국가 안보와 평화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였다. 

하루 빨리 북과 대화를 하고 한반도의 평화를 찾아 현재 교동도에 사는 실향민들이 죽기 전에 고향 땅을 밟을 수 있길 기대한다. 전쟁의 아픔은 여전히 곳곳에 남아있다. 평화를 위한 노력은 계속돼야 한다.

※ 이 기획기사는 2023년 인천광역시 지역언론 지원사업 지원을 받았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