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지역언론 지원사업] 정전협정 70주년 ④
“한강하구 중립수역서 남북 교류, 평화의 물꼬”
“실향민 염원 '평화의 배' 북방한계선까지 띄워야”
“실향민 역사 보존 위한 ‘역사 문화관’ 건립해야”

인천투데이=이재희·김현철 기자│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 국제연합군 대표인 윌리엄 해리슨(William K. Harrison) 미국 육군 중장과 남일 조선인민군 대장이 판문점에서 만났다.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을 중지하는데 교전 양측이 합의한 ‘한국정전협정(Korean Armistice Agreement)’을 위해서다.

이 협정의 정식명칭은 ‘국제련합군 총사령관을 일방으로 하고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및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을 다른 일방으로 하는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Agreement between the Commander-in-Chief, United Nations Command, on the one hand, and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Korean People’s Army and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s, on the other hand, concerning a military armistice in Korea)‘이다.

정식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국제연합군 총사령관 마크 클라크(Mark. W. Clark) 미국 육군 대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수 김일성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펑더화이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이 협정에 서명한 주체이다.

미 육군 중장 해리슨과 조선인민군 대장 남일이 만나 3자가 합의한 협정서를 교환했으며, 합의 12시간 후인 1953년 7월 27일 오후 10시를 기해 발효됐고, 이는 한반도 정전체제의 기본 규범으로 남아있다.

대한민국은 정전협정의 당사국은 아니지만, 정전협정의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나라이다. 그리고 서해는 한반도의 가장 큰 화약고로 불린다.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은 인천의 모습을 돌아본다. <기자말>

“평화의 섬 강화군 교동도 한강하구 수역을 시작으로 남북 간 교류가 이어져야 한다.”

김영애 (사)우리누리평화운동 대표는 지난 6월 2일 <인천투데이>와 진행한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영애 (사)우리누리평화운동 대표.
김영애 (사)우리누리평화운동 대표.

“한강하구 중립수역 남북 교류... 평화의 물꼬 틀 것”

김영애 대표는 “한강하구 중립수역를 개방하고, 남북 간 교류가 이어지는 것이 평화의 물꼬를 트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강화평화전망대에 가면 한강하구 중립수역과 함께 북측 연백평야를 한눈에 볼 수 있다”며 “심지어 철조망도 설치해 놓지 않아, 북측 어민들은 물이 빠질 때 뻘에 나와 어업활동도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정전협정 1조 5항을 보면 한강하구 중립수역은 남측과 북측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민간 선박의 항행을 허용한다고 규정했으나, 현재 교동에서는 갈 수 없게 철조망이 쳐져 있다”며 “이른바 평화수역이라 하지만 전혀 교류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이유로 어업활동은 고사하고 바로 앞의 북측과 교류조차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며 “남북 간 교류로 평화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향민 염원 '평화의 배' NLL까지 띄우게 해야”

또한 김 대표는 조업한계선을 확대 조정해 어민들의 어로 활동을 보장하고, 북방 어로한계선(NLL)까지 배를 띄울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한강하구는 임진강과 예성강이 만나는 지점으로, 남산포에서 창후항까지 이어지는 이른바 황금어장의 경우 접경지역이란 이유로 지난 1964년 조업한계선이 설정돼 조업마저 막혔다”고 말했다.

조업한계선이란 어선들의 NLL 접근을 금지하기 위해 설정한 법적 기준이다. 강화도 창후항~교동면 남산포항까지 조업한계선이 직선거리로 그어져 있다.

김 대표는 “어선도 접근할 수 없게 하는 NLL에 가까이 갈 수 있었던 사례는 여태 ‘평화의 배 띄우기’ 사업이 유일하다”며 “하지만 그마저도 매번 NLL로부터 800m 떨어진 곳까지만 가능했다. 800m를 넘어 배를 올려 보낼 수 있게 해달라”고 주장했다.

이어 “해당 행사에 대부분 실향민들이 참여하는 만큼, 실향민들의 염원을 담아 ‘평화의 배 띄우기 행사’가 매년 계속되길 바란다”며 “직접적으로 북측에 닿지 않더라도, 한강하구 수역 중간까지 가면서 고향 땅을 멀리서나마 보는 것이 실향민들의 소원이다. 이들의 한을 조금이라도 풀어줘야 하지 않나”라고 강조했다.

한강하구 평화의 배는 지난 2005년 시민 평화운동으로 처음 시작했다. 이후 2018년까지 중단됐다가 다시 매년 7월 27일 열리는 정례 행사로 자리잡았다.

김영애 대표.
김영애 대표.

“실향민 역사 자료 보존 위한 ‘역사 문화관’ 건립해야”

김 대표는 이제 교동에도 실향민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이들의 증언과 자료들을 보존할 수 있은 ‘역사 문화관’을 건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실향민들은 처음 연백에서 남측으로 내려올 당시, 한국전쟁이 그렇게 길어질 거라 생각하지 못했다”며 “애초 자주 왕래하던 곳이기도 했으니, 잠시 내려있다가 올라가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런데 전쟁이 길어졌고, 이들은 가족들과 생이별을 해야 했다”며 “당시 교동도 땅은 매우 척박했는데, 실향민들이 연백평야의 농사기술 등을 이용해 땅을 일궈내고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어 “현재 실향민 1세대는 대부분 나이 들었거나, 세상을 떠났다”며 “북측에서 넘어와 교동도에 정착해 살기까지 과정을 모두 기록해 보존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속초 실향민 문화촌’을 예시로 들면서 이른바 ‘교동도 실향민 역사 문화관’이나 체험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전쟁 당시 교동도에 넘어온 실향민들은 3만여명 정도인데, 어떻게 교동도에 이들의 삶을 기록한 장소가 하나도 없을 수 있나”라며 “교육관이나 체험관, 역사 문화관을 만들고 평화를 염원하는 미래의 ‘평화세대’를 발굴하고 교육하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남북 간 평화를 꿈꾸는 ‘평화세대’가 육성된다면 교동도와 한강하구가 진정한 평화의 길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 이 기획기사는 2023년 인천광역시 지역언론 지원사업 지원을 받았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