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차관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한 자주적 민족운동

인천투데이=현동민 기자│오늘로부터 117년 전인 1907년 1월 29일, 대구에서 나라의 빚을 갚고자 하는 범국민적 모금 운동인 국채보상운동을 시작했다.

국채보상운동은 대구에서 시작한 운동으로, 일제가 대한제국에 제공한 차관 1300만엔(한화 약 1억1700만원)에 대해 국민들이 상환을 주도한 운동이다.

대구 중구에 위치한 국채보상운동기념관 (사진제공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대구 중구에 위치한 국채보상운동기념관 (사진제공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1907년 1월 29일 서상돈(1851~1913), 김광제(1866~1920) 등에 의해 처음 시작해 대중들의 크나큰 호응을 바탕으로 그 규모가 국내 전체로 확대했다.

당시 시대 상황으로, 일제는 대한제국 재정을 자신들의 재정에 완전히 예속시켜 경제적 독립을 방해하고 식민지 건설을 하기 위한 모략을 준비했다.

일제는 1894년 청일전쟁 당시부터 대한제국에 적극적인 차관공여를 시작했다. 이러한 일본의 차관 공세는 1904년 제1차 한일협약 이후 더욱 노골적이 됐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한제국은 일제 차관의 굴레에서 벗어나려는 운동을 전개할 수 밖에 없었다.

국채보상운동은 범국민적 운동인 만큼 각계각층이 참여했다. 민족 자본가와 지식인, 심지어 고종 황제까지도 단연의 뜻을 밝혔다. 때문에 고급 관료들도 한때 소극적 형태로 모금 운동에 참여했다.

아울러, 노동자ㆍ인력거꾼ㆍ기생ㆍ백정 등 하층민들까지도 적극 참여해 국채보상운동은 범국민적 운동으로 번져나갔다.

국채보상운동은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난 운동으로, 통일된 지휘체계 하에서 진행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일제의 방해ㆍ탄압에 끝내 좌절하고 말았다.

비록 좌절로 끝나긴 했지만, 국채보상운동이 시사하는 역사적 의미는 크다.

국채보상운동은 국권 회복을 위한 투쟁의 역사로, 대표적인 한민족 애국계몽운동이며 자발적으로 운동을 시작한 점은 한민족의 민족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 과정에서 각 계층이 운동에 참여해 민족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민족의 애국심 고취에 크게 기여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