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아동센터 인천지원단·인천투데이 공동기획]
④ 경계선 지능 아동의 지역사회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

인천투데이=장호영 기자|인천에는 현재 지역아동센터 180여곳이 있다. 이중 ‘경계선 지능 아동(느린 학습자) 사회적응력 향상 지원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아동센터는 40곳으로 아동 160명이 지원을 받고 있다.

인천에선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사업을 지역아동센터 인천지원단(단장 인수영)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을 받아 진행하고 있다. 경계선 지능 아동을 전담 지원하는 현장전문가인 현장교사를 각 지역아동센터로 파견하는 형식이다.

지역아동센터 인천지원단이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제공 인천지원단)
지역아동센터 인천지원단이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제공 인천지원단)

아동복지법 52조 8항을 보면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와 교육, 건전한 오락과 놀이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위해 필요한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취지를 보면, 지역아동센터에서 경계선 지능 아동을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지역아동센터에서만 경계선 지능 아동을 지원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기도 하다.

일례로 2020년 경계선 지능아동 지원 사업 관련 기획기사가 보도된 후 인천지원단으로 학부모들의 문의 전화가 많았다. “우리 아이도 경계선 지능 아동인 것 같은데, 지원받을 수 있는 방법이 없냐”는 내용이었다.

이에 인천지원단은 학교에서 지원할 수 있게 인천시교육청 조례를 만들면 좋겠다는 판단에 인천시의회 의원들과 간담회를 진행했고 이후 조선희(정의당) 전 의원의 대표발의로 ‘인천시교육청 경계선 지능 학생 지원 조례’가 제정돼 2022년 공포됐다.

시·도교육청에 경계선 지능 아동을 지원하는 조례가 있는 지역은 인천이 유일하다. 올해 인천시교육청은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밖 전문기관과 연계해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사업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강의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인수영 인천지원단 단장을 만나 지역사회의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을 들었다.

“경계선 지능 아동 적절한 시기 지원해야, 시교육청에 지원센터 마련해야”

[인터뷰] 인수영 지역아동센터 인천지원단 단장

인터뷰 중인 인수영 인천지원단장.
인터뷰 중인 인수영 인천지원단장.

지역아동센터에서 10년 일한 경험이 있고 인천시교육청에서 교육복지사로 일을 하기도 했다. 지원단 단장으로는 9년째 일하고 있다.

2020년이 코로나19가 막 확산하기 시작하던 때이다. 아동권리보장원이 경계선 아동 지원사업을 한다며 지역아동센터 시·도 지원단에 참여할 수 있는 곳은 신청하라고 했다.

현장에서 10년을 일하며 이런 사업을 누가 해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그래서 이 사업을 시작한다고 해서 너무 반가웠다. 그런데 사업 신청서를 작성하기 시작하며 지원 금액 규모가 시·도 6곳을 합해 총 100억원에 달해 “감당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잠깐 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역아동센터에서 일하는 교사 몇 명이 “힘든 거는 알지만 아이들한테 너무 필요한 사업이라는 것 알지 않는가”라는 이야기를 해서 정신이 번쩍 들었다. 아이들을 위한 사업인데 내 중심으로 생각했다.

사업을 수행한 4년을 돌아보면 힘든 일이 굉장히 많았는데, 그만큼 감동적인 시간도 많았다. 보고서에서 아이의 사례를 보며 감동을 받아서 눈물 흘린 적은 처음이다. 지금은 이 사업을 참 잘 시작했다고 생각한다.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사업은 참여 아동 160명, 현장교사 40명, 지역아동센터 교사, 부모 등과 함께 하는 사업이다 보니 마음을 맞추고 기준을 맞추는 일이 쉽진 않다. 처음에는 같이 마음을 모으고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것이 매우 힘들었는데 4년을 하다보니 마음도 맞고 기준도 맞춰졌다.

인천지원단은 이 사업을 처음 시작할 때부터 현장교사의 질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했다. 현장교사의 질을 높이기 위해 무엇을 지원할 수 있을까 굉장히 많이 고민했고 신경을 썼다.

해가 지날수록 현장교사의 욕구가 달라지고 아이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2020년 사업을 처음 시작할 때는 현장교사 교육을 일주일에 한 번 씩 했는데 현재는 한달에 한 번 교재 연구를 위한 교육을 하고 있다. 현장교사 교육을 중점에 두고 있는 점이 인천만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더 많은 경계선 지능 아동이 지원받을 수 있게
2022년 시교육청 조례 제정, “지원센터 만들어야”

경계선 지능아동이 AR(증강현실) 마커 활동을 하고 있다.(사진제공 인천지원단)
경계선 지능아동이 AR(증강현실) 마커 활동을 하고 있다.(사진제공 인천지원단)

2020년 사업 초창기 <인천투데이>와 함께 기획기사를 내보내면서 기사가 나간 후 부모들에게 사무실로 연락이 자주 왔다. “아이가 경계선 지능인데 어떻게 지원받을 수 있는가”라는 문의였다.

문의하는 부모에겐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대상이라 지원은 어렵겠다고 답은 했는데, 지역아동센터를 다니는 아동이 아니라도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학교에서 지원받을 수 있으면 된다고 생각했다.

인천시의원들에게 이 사업을 알리면서 더 많은 아이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인천시교육청 조례를 만들어야겠다는 것으로 마음을 모으게 됐다.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이 적절한 시기에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이렇게 국내에서 최초로 시·도교육청에 지원 조례를 만들었다. 처음이라 어려울 수 있지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2022년 조례 공포 후 사업이 처음 생각했던 대로 진행되지는 않지만,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나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국회가 경계선 지능인 지원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고 인천시의회는 인천시에 경계선 지능인 지원 조례를 제정하려고 하고 있다. 굉장히 의미 있는 진전이다. 성인 지원도 필요하지만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적절한 서비스가 지원된다면 효과는 훨씬 크다.

인천시교육청에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센터를 만드는 것이 목표이다. 제정된 조례에 지원센터를 설치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다.

현재 가장 좋은 방법은 각 학교마다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사업을 수행하는 현장교사와 같은 역할을 할 교사가 1명씩 배치되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학교 몇 개 만이라도 시범 사업을 할 수 있었으면 한다.

모든 아이들은 다 행복할 권리가 있다. 경계선 지능 아동이건 장애아동이건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권리가 있고 어른들은 행복하게 자랄 수 있게 지원해야할 의무가 있다. 경계선 지능 아동들이 행복할 수 있는 지원, 어른들이 할 수 있는 노력은 ‘바로 지금해야 한다’고 말하고 싶다.

*이 기사는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제작됐습니다. 경계선 지능 아동 지원사업은 복권위원회의 복권기금 지원으로 느린학습자의 사회적응력 향상과 생활적응 지원을 위해 진행되는 사업으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복권위원회가 지원합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