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30년 지킴이 ㉑ 인천 중구 ‘도원철공소’
“담금질, 살아가며 단단해지는 우리랑 같아”
“사라져가는 대장장이‧‧‧ 명맥 이어갔으면”

인천투데이=서효준 기자│고열에 달궈진 쇠막대기가 나종채(70)씨의 손을 거치면 가위가 되고 호미가 된다. 담금질이 마치 세상으로부터 단단해져가는 인생사와 같다고 말하는 나 씨는 인천 중구 도원동 일대에서 55년째 대장장이로 살아가고 있다.

대장장이가 호미 하나를 만드는 데 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공장에서 담금질이 아닌 주물 방식으로 제작하면 수십 개 한 번에 만들어진다. 대장간이 주위에서 점차 사라진 이유기도 하다.

인천 중구 '도원철공소'를 운영 중인 나종채(70)씨.
인천 중구 '도원철공소'를 운영 중인 나종채(70)씨.

인천 중구 도원역 일대에 명맥을 잇는 대장간 4곳이 남아있다. 지난 27일 찾은 ‘도원철공소’의 노(爐) 역시 6~700℃ 고열을 뿜어내며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날은 영하권 날씨였지만 대장간 안은 따뜻했다.

나 씨는 55년째 대장장이 일을 하고 있다. 나 씨는 전라도 광주 출생이다. 1966년 15살 때 나 씨는 무작정 인천으로 올라와 도원동 일대에서 대장간 일을 배우며 대장장이 삶을 시작했다.

이후 1991년 지금의 ‘도원철공소’란 가게를 차렸다. 올해로 30년을 맞았다.

나 씨는 “대장간 일은 배움에 끝이 없어, 같은 호미라도 사람마다 원하는 길이가 다르고, 지역마다 모양세가 조금씩 달라 만들 때마다 새롭지”라고 말했다.

이어 “대장장이가 천직이니깐 50여년을 했지. 두드리는 대로 만들어 지는 게 너무 재밌었지. 사람들이 종이에 그려오는 것을 만들어 주다 보니 어느새 50년이 흘렀네”라고 전했다.

1966년부터 도원역 일대에서 대장일을 한 나종채 씨는 1991년 본인 가게를 열었다.
1966년부터 도원역 일대에서 대장일을 한 나종채 씨는 1991년 본인 가게를 열었다.

“잘 만드는 게 뭐냐고, 두드려 만들 수 있는 건 모두 만들지”

무엇을 가장 잘 만드냐는 질문에 나 씨는 “두드려 만들 수 있는 건 모두 다”라고 웃으며 말했다.

그러면서 “사람들이 원하는 게 모두 달라. 같은 호미‧낫 등 농기구도 사람마다 원하는 길이가 제각각이야. 본인이 원하는 수치를 적어서 그려오면 그대로 만들어 주곤 해. 두드려 만들 수 있는 건 모두 만들 수 있지”라고 덧붙였다.

도원철공소는 나 씨가 직접 만든 각종 농기구들로 가득 차 있다. 가게를 구경하다 보니 시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공장제 농기구와 차이점이 궁금했다.

이에 나 씨는 “담금질을 거쳐 만든 것하고 공장에서 주물로 찍어낸 것하고 차이가 커, 쇠를 불에 달궈 두드리면 그만큼 단단해 지거든 공장제하고 비교할 수 없지. 한 번 써본 사람들은 결국 다시 찾아와”라고 답했다.

나종채 씨가 망치로 달궈진 쇠를 두드리고 있다.
나종채 씨가 망치로 달궈진 쇠를 두드리고 있다.

“담금질, 마치 세상으로부터 단단해져가는 인생사 같아”

나 씨는 “담금질이란 게 참 재밌어, 쇠를 노에 넣어 붉게 달군 뒤 때리면 그만큼 단단해지거든. 세상을 살아가며 조금씩 단단해지는 우리랑 닮은 것 같거든”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품을 만들 때 제일 중요한 게 담금질이야. 모양이 좋아도 제대로 담금질이 제대로 안 되면 부러지거나 찌그러져”라며 "살아가다보면 여러 일이 우릴 다그치잖아. 그 과정이 우리를 단단하게 하기도 하지만, 부러뜨리기도 하지 참 비슷한 것 같아”라고 덧붙였다.

“사라져가는 대장간‧‧‧ 명맥 이어갔으면”

나 씨는 점차 사라지는 대장간들을 보며 명맥을 이어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나 씨는 “도원역 일대는 대장간 20개가 넘게 있었지. 이젠 4개 밖에 없어. 남은 사람들은 모두 7~80대 뿐이지. 우리가 죽으면 명맥이 끊어지겠지. 기술을 전수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어”라고 전했다.

이어 “수십 년 갈고 닦아 온 기술이 우리 대에서 끊기지 않았으면 해. 쇠를 두드릴 힘이 있는 한 (대장일을) 계속 하겠지. 다만 일을 그만 두기 전에 후계자를 찾거나, 기술을 남길 수 있는 다른 방법들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나 씨는 마지막으로 엿장수를 위한 가위를 만들어 보여줬다. 쇠막대기가 가위로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이를 카메라에 담았다.

불이 지펴진 노(爐)에서 가위로 만들어질 쇠막대기가 달궈지고 있다.
불이 지펴진 노(爐)에서 가위로 만들어질 쇠막대기가 달궈지고 있다.
달궈진 쇠막대기를 장비로 한참을 두드린다. 조금씩 모양이 가위 모양으로 바꼈다.
달궈진 쇠막대기를 장비로 한참을 두드린다. 조금씩 모양이 가위 모양으로 바꼈다.
쇠막대기가 점차 펴져 가위날 모습이 나타났다.
쇠막대기가 점차 펴져 가위날 모습이 나타났다.
망치를 이용해 세밀하게 가위 모양을 만든다.
망치를 이용해 세밀하게 가위 모양을 만든다.
나 할아버지가 작업을 모두 마친 마친 엿장수 가위들.
나 할아버지가 작업을 모두 마친 마친 엿장수 가위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