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경제성장, 지역내총생산 100조원 돌파의 의미
인천경제의 새로운 도전, 순이입 증가와 투자 의존성 확대
개인소득 부진, 인천 시민의 경제적 만족도는 여전히 과제

인천투데이=김하운 시민기자 | 지난 12월 22일 통계청이 ‘2022년 지역소득(잠정)’을 발표했다. 인천은 약 104조5000억원을 기록하며 지역내총생산(GRDP) 100조원 시대를 열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이 자료는 지난해 대한민국 각 광역시도별 지역경제가 달성한 전 과목 성적표에 해당한다. 지역별로 지역내총생산 규모와 산업구조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소비, 지출 등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내역도 파악된다.

또한 개인, 기업(법인), 정부 등 경제주체별로 어디에서 무슨 소득을 얼마나 벌었는지도 알 수 있다. 나아가 각 광역시도별 시민이나 도민 1인당 생산, 소득, 소비 등도 비교할 수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인천의 경제실적을 살펴보니 전년에 이어 2022년에도 비교적 성적이 좋다. 2연 연속 6%(=5.96%) 성장을 기록했다.

다만 여전히 개인소득은 국내 평균이하에 머물러 성장 이면에 그늘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인천투데이>는 전 한국은행 인천본부장 출신 김하운 (사)함께하는사람들 이사장과 함께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담긴 인천경제의 특징을 세 차례에 걸쳐 특집으로 보도키로 했다. <편집자 주>

4. 투자지출의 외부 의존 증가

함께하는사람들 김하운 이사장.
함께하는사람들 김하운 이사장.

앞서 1편에서 살펴본 것은 지역내총생산을 생산 면에서 바라본 특징이다.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지역내총생산을 지출 면에서 바라본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은 소비, 투자와 순이출로 나누어진다.

순이출은 국가경제의 경상수지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소비와 투자는 역내 지출인 한편, 순이출은 역외 지출이다.

우선, 2022년 인천의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에서 차지하는 소비와 투자의 비중이 높아졌다. 지역내총생산 비중이 일정(100%)한데, 소비와 투자의 비중이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순이출이 줄어든다.

소비와 투자 비중의 합계가 100%를 넘어가면 순이출 비중이 마이너스로 바뀐다. 이때부터는 순이출이 아니라 순이입이다. 순이입은 지역경제 소비 및 투자재원의 외부 의존을 의미한다.

<표 5>는 2022년의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비중과 전년대비 증가율을 나타낸다. 이 표에서 보듯이 2022년 인천의 소비와 투자는 지역내총생산의 72.9%와 41.2%를 차지한다.인천의 소비와 투자가 모두 전년대비 9.3%, 10.0%의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를 보인 결과다.

소비와 투자 비중의 합계는 114.1%다. 즉, 100%를 넘는 14.1%포인트가 외지로부터 순유입이며, 이 순유입이 전년대비 62.4%라는 급격한 증가를 기록했다. 서울, 울산과 충남처럼 지역내 생산(공급)이 소비와 투자 지출(수요)을 초과하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시·도가 순이입을 보이고 있다.

표 5. 2022년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비중
표 5. 2022년 시도별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비중

인천으로서 그나마 다행인 것은 외지로부터의 순이입이 소비보다는 투자로 이어진 부분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이다. <표 6>에서 보듯이 2022년 인천의 소비 증가율(9.3%)에 비해 투자 증가율(10.0%)이 더 높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지식재산투자가 비교적 양호한 수준의 증가율(9.6%)을 보였고, 투자 증가의 상당 부분이 비주거용 건설 투자 증가(24.9%)로 이어졌으나 노동자들의 생산성 향상에 직접 기여하는 설비투자, 특히 기계류 투자는 오히려 감소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표 6. 2022년 전국과 인천의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비교
표 6. 2022년 전국과 인천의 지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비교

5. 이전소득 부진으로 총처분가능소득은 특·광역시 3위

지역의 소득은 지역내총생산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지역총소득에는 지역내총생산뿐만 아니라 지역민이 지역 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이 포함된다. 물론 외지인이 지역내에서 벌어간 소득은 제외해야 한다.

여기에 더해 아무런 대가 없이 지역으로 들어오는 소득도 있다. 이전소득이다. 지역총소득에 이전소득을 더한 것을 총처분가능소득이라고 한다. 따라서 총처분가능소득은 지역내총생산에, 지역민이 외지에서 벌어온 소득에서 외지인이 지역에서 벌어간 소득을 제외한 순수취역외소득을 더한 다음, 이전소득을 더한 금액이 된다.

총처분가능소득은 지역민들이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하는 것이니 가장 의미가 큰 지역소득의 개념이다.

<표 7>은 시도별로 총처분가능소득의 산출과정을 보여준다. 우선, 2022년 인천의 순수취역외소득은 6조4000억원이다. 특·광역시 8개중 서울과 대구를 제외하면 가장 크다. 이에 따라 지역총소득은 110조9000억원으로 서울에 이어 특·광역시 중 2위다.

그러나 지출 이전소득과 수입 이전소득을 정산한 순수취경상이전소득은 인천이 3조원으로 8대 특·광역시중 6위다. 따라서 지역총소득에 순수취경상이전소득을 더한 인천의 총처분가능소득은 113조9000억원으로 특·광역시 중 3위다. 순수취경상이전소득이 9조원인 부산보다 6조원이 작아 총처분가능소득의 순위가 낮아진 때문이다.

표 7. 2022년 기준 국내 광역시도별 지역소득 비교
표 7. 2022년 기준 국내 광역시도별 지역소득 비교

<표 7>에서 짚고 넘어가야 할 게 있다. 지역총소득은 순본원소득과 고정자본소모로 나누어지는데 인천은 고정자본소모가 특·광역시 중 서울에 이어 가장 크다.

예를 들어 자영업자가 4000만원을 들여 시설투자를 했는데 4년 후에는 시설이 낙후돼 잔존가치가 없어진다고 하자. 이 자영업자가 매년 1000만원을 번다면 매년 1000만원씩 사라진 시설의 가치에 충당하는 것이므로 본전을 한 셈이다. 이 ‘본전’이 고정자본소모에 해당하는 개념이다.

2022년 인천의 지역총소득이 110조9000억원이지만 이중 25조5000억원은 이미 투자한 시설의 사라진 가치에 충당해야하는 것이므로 소득으로 칠 수 없다. 그래서 지역총소득에서 고정자본소모를 제외한 것을 순본원소득이라고 한다.

인천은 서울, 울산, 충남 등과 같이 대규모의 시설투자를 통해 경제활동을 하는 지역으로서 지역총소득 규모가 같더라도 고정자본소모가 커 순본원소득이 그만큼 작게 된다.

6. 개인소득은 여전히 부진한 수준

총처분가능소득은 지역내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경제주체별로 배분된다. 경제주체별로 배분된 소득을 제도별 소득이라고 한다. <표 8>에서 보는 것처럼 경제주체는 비금융법인, 금융법인, 일반정부 및 개인으로 구분된다.

이 제도별 소득 중 개인부문의 소득을 인구로 나눈 값이 1인당 개인소득이다. 따라서 1인당 개인소득은 법인과 정부부문의 소득을 제외한, 지역경제에 속한 시민이나 도민들의 경제적 활동의 근간이 되는 소득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아무리 시·도의 경제규모가 크더라도 그 지역에 속한 개인의 소득이 작다면 지역경제 주민의 만족(행복)을 충족시키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보자면, 앞에서 본 것처럼 인천의 성과가 크다고 하더라도 인천 시민은 만족하기 어렵다. 금액 면에서 큰 차이가 아니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인천 시민들의 1인당 개인소득은 2241만원 수준으로 국내 평균 2339만원에도 크게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8대 특·광역시 중 7위로 사실상 꼴찌 수준이기 때문이다.

표 8. 2022년 시도별 제도별 총처분가능소득과 1인당 개인소득
표 8. 2022년 시도별 제도별 총처분가능소득과 1인당 개인소득

 

관련기사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