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문화재단 공동기획] 이주민 아동·청소년 문화 향유②
인천 내 언어·문화 장벽으로 선주민·이주민 갈등 심화
인천시·인천시교육청, 한국어 교육 진행하나 강화 필요
이주민 밀집 지역, 언어 교육을 위한 ‘교육기관’ 필요

인천투데이=박규호 기자│

인천에 거주하는 이주민은 약 14만7000명으로 인천 전체인구(299만명) 중 약 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 기초지자체 중 이주민이 가장 많은 기초단체는 부평구로 3만3125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뒤를 이어 ▲연수구 2만6103명 ▲서구 2만4417명 ▲남동구 2만3254명 ▲미추홀구 2만318명 ▲중구 7693명 ▲계양구 7676명 ▲동구 1997명 ▲강화군 1789명 ▲옹진군 504명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평구와 연수구는 마을과 지역 중심으로 이주민이 모여 사는 추세라 학교와 지역아동센터 이주민 아동·학생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인천에서 떠났던 한국 이주민이 인천 소재 재외동포청 지원으로 국내로 돌아왔듯이 한국 사회 역시 타국 이주민을 받을 준비를 해야 한다.

<인천투데이>는 인천문화재단과 공동기획으로 이주민 아동 문화·언어 향유 현황과 이주민 가정 문화·언어 정책 개선 방향을 5회에 거쳐 살펴본다. <기자말>

지방소멸은 지역 사회 인구가 감소해 인프라와 생활서비스, 공동체가 제대로 기능하기 어려운 상태를 지칭한다.

일본의 학자 미스다 히로야는 통상 지방소멸이 3단계로 진행된다고 했는데 ▲1단계 지역의 인구감소 ▲2단계 공동체 기능의 저하 ▲3단계 지역의 완전한 인구소멸의 순으로 지방소멸이 일어난다고 밝혔다.

인구감소지역.(자료제공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자료제공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는 지난 2021년부터 기초자치단체 226개를 대상으로 인구감소지역 89개를 지정했다. 인천에선 강화군과 옹진군이 인구감소지역에 해당한다.

행안부는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인구감소지역 89개와 관심지역 18개를 대상으로 지방소멸대응 기금 등을 운영하고 있다.

지방소멸은 자연스레 지방 고용 위기로 이어졌다. 인천상공회의소가 지난 8월 인천 기업 110개를 대상으로 ‘인천지역 기업 외국인력 활용실태와 개선사항 조사를 실시한 결과, 46.4%가 산업 현장에서 외국 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또한, 인천 기업들은 청년 인력의 취업 기피 현상과 기존 인력의 고령화로 인해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했다. 외국 인력에 대한 지역 기업의 필요성과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27일 외국인력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산업현장 인력난에 대응해 이주 노동자 도입 규모를 올해 12만명로 확장한 데 이어 내년 16만5000명으로 확대키로 했다.

이어 ▲음식점업 ▲임업 ▲광업 등 인력난 심화 업종은 현장 실태조사를 거쳐 이주 노동자(E-9) 고용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인천 내 언어·문화 장벽으로 선주민·이주민 갈등 심화

함박마을 내국인 상권 보호대책위원회가 5일 연수구청 후문에서 집회를 개최하고 있다.
함박마을 내국인 상권 보호대책위원회가 5일 연수구청 후문에서 집회를 개최하고 있다.

문제는 이주민이 지방으로 이주하면서 이주민이 많이 거주하는 마을에서 언어·문화 장벽으로 인해 선주민과 이주민이 갈등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인천 내 이주민이 집중된 연수구 연수동 함박마을에선 언어, 문화 장벽으로 인해 선주민과 이주민 사이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일 함박마을 내국인 상권 생존대책위원회는 연수구청 후문에서 집회를 열고 “러시아 이주민들과 우크라이나 이주민들이 패싸움을 벌이는 등 함박마을에서 강력사건이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함박마을 내 이주민 인구는 2015년부터 늘어나기 시작해 올해 6월 기준 전체 주민(약 1만2000명)의 61%인 약 7400명이 이주민으로 나타났다.

이주민이 늘어나자 함박마을에서 폭력과 살인 사건 등 강력 사건 발생 빈도가 늘었다. 함박마을내국인상인대책위는 지난 9월 18일과 지난달 14일 같은 장소에서 연수구에 내국인 상인 보호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인천시·인천시교육청, 한국어 교육 진행하나 강화 필요

이주민 한복체험 사진.
이주민 한복체험 사진.

인천시와 인천시교육청은 한국어 교육과 이중언어교육 등을 언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나 이주민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라 더 적극적인 언어 교육과 문화예술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인천시는 인천외국인종합지원센터에서 온라인·오프라인을 병행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 중이다. 11월 말 기준 399번을 진행했으며 이주민 6950명이 한국어 교육을 받았다.

이와 함께 시는 외국인 정착지원단체인 ▲다문화사랑 ▲어울림이끌림 사회적협동조합 ▲다울빛 이주 여성연합회 등 단체를 지원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지역마다 다문화가족센터(현 가족센터)에서 이주민 이중언어교육(11월 말 기준 550명)과 한국어 교육(11월 말 기준 1217명)을 진행 중이다.

인천시교육청 역시 일선 학교에 한국어 학급을 설립해 10월 기준 학생 1418명에게 한국어 교육을 진행했다. 한국어 학급이 없는 경우 교육청은 ‘찾아가는 한국어 교육’으로 언어 학습을 돕고 있다.

또한, 인천시교육청은 시민사회단체 등과 함께 다문화예비학교를 설립해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인천시교육청 관계자는 “한국에서 태어난 이주민 아동 같은 경우 크게 한국어 사용에 문제가 없다”며 “또한, 한국에 오래 산 이주민 아동 역시 한국어를 잘 사용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천시교육청은 중도 입국 이주민 아동을 중심으로 교육하고 있다”며 “그럼에도 한국어 자체가 배우기 쉽지 않기에 멘토링 등을 개별로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주민 밀집 지역, 언어 교육을 위한 ‘교육기관’ 필요

인천시와 인천시교육청이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주민 밀집 지역 등에 간단한 언어라도 교육할 수 있는 한글학당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부가 꾸준히 이주민 노동자를 확대하는 정책을 제시하기에 한글학당은 더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지난 4월 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를 이주민 청년 직업훈련기관으로 지정했다.

이는 폴리텍 지역캠퍼스를 이주민 가정 청년 직업훈련기관으로 선정하고 맞춤형 특화교육을 실시하는 정책이다.

훈련 대상은 만18~24세 이주민 가정 청년이며 훈련 기간은 6개월로 총 600시간을 이수할 수 있다.

이처럼 직업훈련기관과 연계한 언어 교육과 문화향유 기회 확대도 필요하다. 교육부는 지난 달 27일부터 이달 1일까지 인천하나글로벌캠퍼스 일원에서 ‘2023년 해외 청소년 한국어교육 연수’를 진행했다.

이번 연수는 국가 34개에서 온 중·고등학생 100여명이 참석했으며 맞춤형 한국어 수업, 한국 문학작품 감상발표회, 한국문화·예술 공연 등을 나눴다.

이처럼 언어 교육 겸 문화 향유 프로그램 있고, 이 것을 토대로 이주민 아동과 청소년 교육과 문화 향유에 적용한다면 이주민 언어 교육과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강화할 수 있다.

[인천문화재단-인천투데이 공동기획]
[인천문화재단-인천투데이 공동기획]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