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해상풍력 경제효과 추산 63조5000억원 옹진군 집중
영흥·덕적도 해상풍력배후항만 조성 시 제2영흥대교 탄력
속속 들어설 해상풍력, 옹진군 역점정책엔 없어 '대응 미흡'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인천 해상풍력발전 조성사업이 사업자와 어민·주민 사이 갈등을 봉합한 후 본궤도에 오르고 있다. 인천에서 해상풍력 사업 구역 대부분의 인·허가권은 옹진군이 지닌다.

해상풍력은 기후위기 대응뿐만 아니라 친환경 에너지인프라 조성에 따른 경제효과로 옹진군의 지역소멸 위기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되는 사업이다. 하지만 옹진군의 대응은 한발 느리다는 지적이 나온다.

16일 <인천투데이> 취재를 정리하면, 인천 해역에선 오는 2030년까지 총 19조원이 투입돼 3.7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될 예정이다.

덴마크 코펜하겐 연안 미델그룬덴 풍력발전단지(middelgrunden offshore wind farm)
덴마크 코펜하겐 연안 미델그룬덴 풍력발전단지(middelgrunden offshore wind farm)

인천해상풍력 경제효과 추산 63조5000억 옹진군 집중

현재까지 인천 해역에서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업체는 덴마크 국영기업 오스테드를 비롯해 CJ 계열사 굴업풍력개발, 한국남동발전 등이다. 이외에도 한화건설·RWE코리아·한국중부발전 등 업체 14개가 대부분 옹진군 앞바다에서 해상풍력 사업을 준비 중이다.

지난 2022년 한국에너지공단이 발표한 ‘재생에너지 확대 시 에너지관련 산업 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보면 인천에서 해상풍력 발전 용량이 3.7GW 규모로 조성되면, 18조5000억원의 최종수요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해상풍력 계획·설치에서 운영·해체까지 전 기간(20~25년)에 걸쳐 인천지역 전 산업에 발생할 경제효과는 63조4920억원으로 추산된다.

지난 2022년 기준 인천의 실질 지역내총생산(GRDP)이 95조7126억원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규모다. 지난 2020년 기준 옹진군 실질 GRDP는 지난 2020년 기준 8771억원으로 1조가 채 안 된다.

영흥면 장경리 해안.(사진제공 옹진군)
영흥면 장경리 해안.(사진제공 옹진군)

영흥·덕적도 해상풍력배후항만 조성 시 제2영흥대교 탄력

해상풍력 구조물은 한 대당 높이가 200m가 넘으며, 전력변환장치, 중속기, 제어기 등 핵심 부품장비들을 합치면 중량이 1000톤에 달한다. 그만큼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와 유지·보수(O&M, Operation & Maintenance)를 뒷받침할 배후항만이 필요한데, 옹진군 영흥도가 유력한 대상지로 꼽힌다.

인천시는 인하대학교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완료한 ‘인천 해상풍력 배후항만 조성 및 지역산업 연계방안’ 연구용역을 보면, 해상풍력발전단지 설치를 지원할 배후항만으로 영흥도를 최적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국내 최대규모인 1.6GW 용량으로 덕적도 서쪽 해역에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할 예정인 오스테드는 덕적도에 직접 향후 20~30년 이상 운영될 유지·보수 항만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의 인구유입과 숙박·상업시설 확충, 고용창출 등으로 인한 경제효과가 클 수밖에 없다. 또한 영흥도에 해상풍력산업이 집적화된다면 문경복 옹진군수의 공약사항인 제2영흥대교 건설은 사업성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달 초 옹진군이 발표한 2024년 옹진군 역점정책과 현안사항 내용.
이달 초 옹진군이 발표한 2024년 옹진군 역점정책과 현안사항 내용.

이처럼 해상풍력은 옹진군의 지역소멸 위기를 타계한 유일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옹진군의 대응은 미흡해 보인다. 이달 초 옹진군이 발표한 2024년 옹진군 역점정책과 현안사항을 봐도 해상풍력에 대한 내용은 일절 찾아볼 수 없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해상풍력산업에 대응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이에 옹진군 관계자는 “그동안 국내 곳곳에서 해상풍력발전 사업의 주민수용성 부족 문제로 정부가 기준을 대폭 강화하면서 큰 진척이 없는 것 같다. 향후 제2영흥대교와 연계해 해상풍력배후항만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