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비무장지대 감시초소 복구 병력·장비 투입
국방부 “서해 해안포 개방 늘어 군사조치 복원”
9.19 합의 남측 효력정지에 북측 파기 맞대응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이후 북측이 비무장 비무장지대(DMZ) 내 최전방 감시초소(GP)를 복구하고 병력과 장비를 투입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안포 포문 개방도 합의 파기 이전보다 크게 늘어 접경지역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북한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난 뒤, 북한군 병사들이 비무장지대 내 GP 감시소를 설치하고 있다.(사진제공 국방부)
북한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난 뒤, 북한군 병사들이 비무장지대 내 GP 감시소를 설치하고 있다.(사진제공 국방부)

국방부는 27일 국군 감시장비로 북측 최전방 초소를 촬영한 결과, 2018년 9.19 군사합의 이후 철거했던 DMZ 내 감시초소를 복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예감시초로 파괴 후 병력과 장비가 모두 철수했는데, 북한군이 비반동총(무반동총) 장비를 옮기는 모습과 경계근무를 서는 모습이 보인다”며 “군사합의로 북한군이 파괴하거나 철수한 감시초로 11개 모두 유사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북한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난 뒤, 북한군 병사들이 비무장지대 내 GP 감시소를 설치하고 있다.(사진제공 국방부)
북한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난 뒤, 북한군 병사들이 비무장지대 내 GP 감시소를 설치하고 있다.(사진제공 국방부)

남북은 5년 전 체결한 9.19 군사합의에 따라 DMZ 내에서 거리가 1km 이내인 감시초소 11개 중 10개를 완전히 파괴했다. 1개는 병력과 장비는 철수하되 원형을 보존했다. 이로 인해 DMZ 내 감시초소는 북측이 160여개에서 150여개로, 남측은 60여개에서 50여개로 줄었다.

또한 국방부는 이날 입장문을 발표하며 “북한은 지난 23일 국방성 성명으로 9.19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다”며 “지난 24일부터 감시초소 근무 투입, 임시초소 설치, 중화기 반입, 서해 해안포 포문 개방 증가 등 일부 군사조치를 복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난 뒤, 북한군 병사들이 전선지역 경계호에 중화기(무반동총 추정)를 다시 설치하고 있다.(사진제공 국방부)
북한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난 뒤, 북한군 병사들이 전선지역 경계호에 중화기(무반동총 추정)를 다시 설치하고 있다.(사진제공 국방부)

그러면서 “북한의 도발행위를 예의주시하면서, 강화된 한미연합방위 태세를 기반으로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며 “북한의 군사조치 복원에 즉각 대응할 만반의 준비를 갖춰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측의 이같은 행보는 9.19 군사합의 파기에 따른 후속조치로 보인다. 지난 21일 북측은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고, 남측 정부는 이를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과 대남 도발로 규정했다.

이에 지난 22일 남측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9.19 군사합의 제1조 3항 효력을 정지했다. 이 조항은 군사분계선 남쪽으로 20~40km 공역에서 비행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국방부가 군사분계선 일대의 공중 감시와 정찰 활동을 할 수 있게 됐다. 남북 무력충돌을 방지하는 안전핀 역할을 해온 9.19 합의가 파기되면서 북측의 맞대응이 이어지며 서해 접경수역 군사긴장도 높아지고 있다.

북한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난 뒤, 북한군 경계병력들이 전선지역 경계호에 투입되어 야간 근무를 하는 모습을 열화상카메라로 찍은 사진.(사진제공 국방부)
북한이 9·19 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하고 난 뒤, 북한군 경계병력들이 전선지역 경계호에 투입되어 야간 근무를 하는 모습을 열화상카메라로 찍은 사진.(사진제공 국방부)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