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투데이|박정희 정권 시절 때인 1966년 중앙정보부(국가정원보원 전신)가 각급 기관끼리 정보를 공유하고 업무를 조율하기 위해 꾸린 인천지역 기관장 모임에서 출발한 ‘인화회’.

지역 시민단체는 박정희 정권 시절 중앙정보부가 업무 조율과 정보 공유를 위해 꾸린 조직이 50년 넘게 유지되는 것에 대한 비판과 함께 대통령 사조직에 의한 국정농단 사건과 비교하며 해체 목소리를 냈었다.

이에 민선 7기 전임 시정부의 박남춘 시장은 2018년 8월 인화회 공식 탈퇴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장들의 탈퇴도 이어지며 사실상 공식 해체 수순을 밟았다. 이후 인화회는 경제인 모임으로 성격이 바뀌었다.

그런데 민선 8기 유정복 시장은 지난해 7월 취임 후 인천지역 언론과 대담에서 “민선 6기 시절 인화회에 참여했고 주요 현안에 대한 공감대 형성과 장학사업 등을 수행하는 순기능이 많은 모임이라고 생각한다”며 인화회 재가입 의사를 밝혔다.

이후 올해 4월 11일 인화회에 가입하고 같은달 25일 회장에 취임한 것으로 확인됐다. 취임 후 유 시장이 인화회 재가입 의사를 밝히자, 시민단체는 재가입 반대 의사를 밝혔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과거 기관장과 경제인, 지역유지 모임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으며, 민원해결 창구 아니냐는 극단적 평가도 있었다”며 “인천시장의 인화회 탈퇴로 인화회의 순기능이 나타났는데 복귀가 이뤄지지 않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민선 7기 전까지 인화회 회장은 인천시장이 맡았다. 회원은 인천지방법원장, 인천지방검찰청장, 인천지방경찰청장, 국정원 인천지부장, 세무서장, 언론사 사장, 대학 총장, 병원장, 군 사단장, 고위 공직자, 군수·구청장, 공공기관장, 기업인, 금융기관 고위 간부 등 220명 달한다.

인화회는 언뜻 보면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는 지역 유지 모임으로 보이지만, 과거 여러 물의를 일으켰다. 2014년엔 지방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후보였던 유정복 시장이 참석해 공직선거법 위반 시비가 일었다.

상당수 공공기관장과 기업체 대표들이 판공비로 인화회 회비를 내온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2007년에는 태풍으로 물난리가 났을 때 인천지방검찰청 청사에서 시장을 포함한 인화회 회원들이 ‘바비큐 만찬’을 한 사실이 알려져 공분을 일으키기도 했다.

특히 인화회는 시 조례 기구가 아닌 사조직임에도 시 총무과장이 간사를 맡아 인화회 업무를 담당하는 것도 문제가 됐다.

민관 거버넌스가 중요시 되고 청탁금지법인 일명 ‘김영란법’이 시행 중인 시대에 정·관계와 경제계, 법조계, 언론계까지 정기적으로 모임을 유지하는 것은 로비와 청탁 창구 아니냐는 의혹을 피하기는 어렵다.

시 관계자는 “유 시장이 오피니언 리더와 지역사회와 적극 소통하고 협력하기 위해 가입했고, 지역발전 등에 관한 논의를 할 것”이라고 했지만, 시민들이 과연 납득할 수 있을까. 유 시장의 인화회 가입과 회장 선출은 과거 회귀로 볼 수 밖에 없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