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③ 자전거 도로 필요성과 정책 방향

김종현 ‘인천 자전거도시 만들기 운동본부’ 대표 인터뷰
“자전거도로 건설 한꺼번에 하기보다 순차적 진행해야”
“연수구뿐 아니라, 시 차원에서 공유자전거 운영 필요”

[인천투데이 이서인 기자] 자전거를 잘 타자가 아닌, 자전거로 안전한 도시를 만들고자하는 사람들이 있다. ‘인천 자전거도시 만들기 운동본부(대표 김종현, 이하 자전거도시운동본부)는 자전거도로가 잘 깔려있는 도시는 도로에 턱이 없어 보행약자가 더 안전하게 다닐 수 있다고 말한다.

자전거도시운동본부는 2007년에 만들어진 비영리단체다. 올해 7월 기준 회원 수는 400여 명. 초등생을 포함한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달에 한 번 열흘 동안 자전거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자전거 이용 인식을 개선하고 좀 더 안전한 도시를 만드는 게 이 교육의 목적이다.

김종현 대표는 자전거 이용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말하면서 인천시가 좀 더 의지를 갖고 관련 정책을 펼쳐야한다고 했다. 아래는 김 대표가 말한 자전거도로의 필요성과 지방자치단체의 관련 정책 방향을 정리한 것이다.

김종현 ‘인천 자전거도시 만들기 운동본부’ 대표.
김종현 ‘인천 자전거도시 만들기 운동본부’ 대표.

자전거도로와 자전거도시의 필요성은?

자전거는 바퀴가 작다보니 도로 턱이 1cm만 되더라도 올라가기 어렵다. 커브를 돌 때 특히 그렇다. 그래서 자전거가 다니려면 도로 턱을 낮출 수밖에 없다. 도로 턱이 없어지면 휠체어ㆍ유아차를 타는 보행약자가 좀 더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인도는 사람만 다니는 공간이 돼야한다. 인천에 있는 자전거도로는 대부분 인도에 설치돼있어, 자전거와 보행자가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자전거도로를 차도로 내리면, 인도의 보행환경이 더 안전해진다.

현재 부평은 자동차 통행량이 많아 출퇴근 시간대에 교통체증이 발생한다. 이럴 때는 자전거가 더 빠르다. 자전거도로가 생기는 만큼 차도는 줄어들고, 차가 다니기 불편한 도로에는 자연스럽게 차 통행량도 줄 수밖에 없다. 서울처럼 차도를 좁혀야 차 통행량이 줄고,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주차난도 감소할 수 있다.

자전거 이용은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의 건강 증진에도 좋다. 자전거를 타면 몰입하다보니 스트레스를 잊는다. 또, 야외로 나가면 녹색을 많이 접하게 돼 마음에 평안이 생긴다. 차를 몰 때 성격이 급해지는 것과는 반대다.

아울러 자전거를 타본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차가 있으면 주차공간이 갖춰져 있는 대형 마트나 백화점 등 대규모 매장을 갈 수밖에 없고, 불필요한 물건을 충동 구매하기도 한다’고 말한다. 반면에 자전거로 장을 볼 때는 물건을 한 번에 많이 살 수 없고, 필요한 것만 사다보니 소비가 줄고 결국 환경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

김종현 대표가 자전거를 타고 있다.
김종현 대표가 자전거를 타고 있다.

▶ 인천시 자전거도로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은?

자전거를 타다보면 관리가 제대로 안 되는 도로가 많이 보인다. 강화도는 상대적으로 차가 적다보니 자전거 이용률이 높으나, 도로 관리가 안 돼 자전거가 차도로 다닌다. 지자체별로 자전거 정책 담당자가 없는 것이 문제다. 부평구처럼, 자전거 정책팀이 있다가 단체장이 바뀌면서 없어진 곳도 있다. 친환경으로 가야한다는 말뿐이 아닌, 개혁적 행동을 실천해야한다.

자전거도로는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건설하면 된다. 한꺼번에 하려하니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도 어렵다. 예를 들면, 재개발하는 곳에 자전거도로 설치를 도시계획에 넣어 진행하거나, 원도심이나 아파트단지 앞에 자전거도로를 깔면 그 도로들이 계속 연결고리가 될 수 있다. 현재 시는 이런 의지가 없어 보인다.

다만, 자전거도로를 놓을 때 시민들과 충분히 논의해야한다. 안상수 전 시장 시절 인천세계도시축전을 열면서 시민들과 시민단체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무리해서 도로를 놓았다. 이로 인해 많은 시민이 불편을 겪었고, 민원을 넣어 결국 몇 년 뒤 일부 도로는 철거됐다.

물론 자전거도로가 잘 돼있는 곳도 있다. 남동구 논현동, 서창, 소래, 서구 청라, 연수구, 인천대공원~송도 등이 특히 잘 돼있다. 아울러 올해 준공 목표인 영종도 ‘자전거 한 바퀴 길’도 좋은 사례다. 이 자전거도로는 해안가를 따라 조성될 예정인데,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인천 자전거도시 만들기 운동본부가 2018년 부평대로에서 자전거대행진을 하고 있다.(사진제공ㆍ인천 자전거도시 만들기 운동본부)
인천 자전거도시 만들기 운동본부가 2018년 부평대로에서 자전거대행진을 하고 있다.(사진제공ㆍ인천 자전거도시 만들기 운동본부)

▶ 자전거 정책을 잘 시행하고 있는 타 지역 사례는?

창원시의 경우 시장이 자전거도시를 만들고자하는 의지가 커, ‘도로 다이어트(차선을 줄이고 자전거도로 설치)’ 실시 등, 과감한 개혁을 시도했다. 이와 더불어 자전거 이용을 늘리기 위한 ‘자전거 타기 시민의식 전환’ 교육 실시, 공무원 자전거 타는 날 지정, 자전거 동호인 육성 정책을 펼쳤다. 공업단지가 많아 막히는 도로에 자전거도로를 설치해놓으니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공단 노동자가 늘어났다.

상주시는 예전부터 자전거 이용률이 높고, 자전거도로가 잘 돼있는 지역으로 손꼽힌다. 시민의식도 높다. 상주를 방문했을 때, 신호등 없는 사거리에서 차들이 경적을 울리지 않고 지나가는 자전거를 기다리는 모습이 인상 깊었다. 자전거 이용률이 높아 차보다 자전거의 도로 주도권이 높기도 하고, 자전거 교육을 어려서부터 받아 보행약자 배려의식이 높다.

서울시는 자체 공유자전거 ‘따릉이’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15년 10월부터 운영한 ‘따릉이’는 올해 3월 누적 대여 4000만 건을 돌파했다. 6월 기준 회원 수는 220만 명이다.

인천에선 연수구만 공유자전거 ‘쿠키바이크’를 2018년 8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 공유자전거는 연수구 안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인천 전 지역에서 공유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시 차원의 운영이 필요하다.

▶ 마지막 한마디 한다면?

자전거나 킥보드로 택배나 배달 영업도 하고 있다. 시대가 변하고 있고, 사람들 인식도 바뀌고 있다. 앞으로 가야할 길은 친환경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자동차를 생각하는 순간 친환경 도시를 위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경제 논리도 좋지만 사람들이 안전한 구조를 만들어야한다. 시가 대중교통, 안전한 보행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의지를 갖고 적극적인 정책을 펼쳐야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