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 ‘시인 한하운 타계 41년, 인천에서 그를 재조명하다 4
시인 한하운을 역사에 남기는 작업을 하는 사람들

<편집자 주> ‘문둥병 시인’으로 유명한 한하운은 1975년 2월 28일 인천시 부평구 십정동 산39번지의 자택에서 간경화로 사망했다. 당시 56세였다. 그가 인천에 정착한 지 25년만이다. 짧은 인생의 절반 가까이를 인천과 부평에서 살았던 것이다.

어린 나이에 한센병으로 불운의 삶을 살았던 그는 삶을 포기하지 않고 문학으로 승화시켰다. 나이 40세인 1959년 음성으로 판명돼 성혜원을 떠나 사회에 복귀했지만, 한센병 환우들을 잊지 않고 부평에 거주하며 죽는 날까지 한센인의 권익을 위한 활동을 계속 했다.

인천시는 올해 ‘인천 가치 재창조’ 선도 사업의 하나로 부평구가 제출한 ‘한하운 재조명 사업’을 선정했다. 사업으로 한하운 시비와 사이버문학관 건립, 한하운 백일장 개최 등, 여러 가지를 구상하고 있다.

<인천투데이>은 한하운의 삶과 문학을 재조명하고 그의 삶과 문학이 주위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기획취재를 준비했다. 한하운 시인이 남긴 흔적을 찾아 그의 고뇌와 인생이 문학예술에 어떻게 투영됐는지 5회에 걸쳐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인 다음호에는 ‘시인 한하운을 역사에 남기는 작업을 하는 인천 사람들’을 실을 계획이다.

한하운기념사업회, ‘한하운’이라는 이름 특허청에 등록

[기획취재] ‘시인 한하운 타계 41년, 인천에서 그를 재조명하다’

1. 25년 살았던 인천에서 그의 흔적을 찾다
2. 짧게 살았던 수원과 묻혀 있는 김포에서 그의 흔적을 찾다
3. 문둥이 시인 한하운, 소록도에서 그의 흔적을 찾다
4. 시인 한하운을 역사에 남기는 작업을 하는 사람들
“지각(知覺)없는 문인이나 문학단체에서 한하운 시인의 이름을 팔아 상장 장사를 하거나 이름을 더럽히는 일이 많았다. 이를 바로 잡고 한하운의 문학정신을 해치는 일을 막기 위해 2012년 말께 ‘한하운’이란 이름으로 상표특허 등록을 마쳤다”

정일상(85) 한하운기념사업회 명예이사장의 말이다. 정 이사장과 함께 한하운 시인을 기리고자 하는 이들은 특허청에 ‘한하운’이라는 이름을 상표로 등록하기 위해 지난 2010년부터 다방면으로 애를 썼다. 특허 등록에 참여한 문인이 17명이었고, 특허 등록비용 또한 적지 않게 들었다고 한다.

그 무렵 한하운기념사업회를 결성했다. 정 명예이사장이 당시 이사장이었고, 이종석 시인이 명예이사장이었다. 이종석 시인은 한하운기념사업회를 결성하기 전부터 개인적으로 한하운 유택의 관리인으로 등록해 묘지를 관리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조건에 있는 이종석 시인이 혼자 감당하는 게 안타까웠던 정 이사장은 “기념사업회를 만들어 같이 책임지자”고 제안했다. 시인이자 수필가인 정 이사장과 이 시인은 문학회 활동을 하며 만난 사이다.

한하운은 1960년에 나병 음성 판정을 받고 사회로 복귀한 이듬해 서울 명동에 ‘무하문화사’란 도서출판사를 설립했다. 이때부터 문학청년들이 한하운을 만나기 위해 출판사를 드나들었다고 이 시인은 회고했다. 이 시인 또한 문학가 지망생 중 한 명이었다.

이 시인은 한하운기념사업회에서 출간한 ‘보리피리’ 창간호에 ‘살아생전 한하운과 친교를 맺었던 예술인들이 거의 고인이 된 현실에서 나만이 이 괴로운 세상에 살아남아서 이 글을 쓰고 있다는 자체가 나 자신도 믿기지 않는다’라고 썼다. 이런 인연으로 이 시인은 스스로 한하운 유택의 관리자로 등록해 묘지를 관리하고 제사를 지냈다. 이 시인은 ‘보리피리’ 창간호에 “1975년 2월 28일 한하운이 세상을 떠난 후, 생시에 그렇게도 끊임없이 찾아오던 사람들이 발길을 끊었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두 분이 인생행로를 하시면서 슬하에 자식이 없었다는 점이고, 혼인신고도 안 된 법적 부부가 아니라는 점이다”라고 했다.

▲ 한하운기념사업회는 2013년에 ‘보리피리’ 창간호를 발행했다. 매해 한두 권 출간한다.
이 시인의 설명을 들어보면, 1949년 경기도 수원 세류동에 살았던 한하운은 지인의 소개로 열세 살 아래인 유임수라는 여성을 만나 동거했다. 경북 칠곡이 고향인 유씨 역시 한센병을 앓고 있었다.

이 시인은 “한하운 사후에 유씨에게 저작권 문제 관련 상의를 했지만 얘기가 통하지 않았다”고 했다. 유씨는 법적 부부가 아니더라도 ‘6개월 이상 동거했다’는 지인들의 진술만으로도 법적 부부가 가능하다는 논리와 ‘저작권료를 받아 편하게 사시라’는 제의도 거절했다.

한하운 유택을 김포로 정한 건 유씨의 뜻이었다. 김포 풍무동 공동묘지에 유씨의 아버지 묘가 있어서 그곳으로 모셨다는 것이다. 유씨는 2010년에 생을 마감했다.

이 시인은 ‘보리피리’ 창간호에서 “부끄럽다. 한센인이라고 살아생전 멀리하던 부류들이, 하운과 같이 문학지에 게재되는 것조차 말하던 인사가 지금은 뭐 하운 어쩌고 저쩌고…”라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풍문에는 한하운 시인의 양녀가 있고, 사위가 한하운문학회와 관련 있다는 말이 있다. 이에 대해 정 명예이사장은 “양녀는 가짜다”라고 단언했다.

“이종석씨와 내왕하는 80대 문인들이 있다. 그들 얘기가, 그 당시에 양녀의 존재는 없었다는 것이다. 고아원에 있던 사람인데 양녀라고 자처하고 다녔던 사람이 있긴 했다. 그 사람뿐 아니라 여기저기서 한하운을 팔아서 장사하는 사람이 많아 우리 기념사업회에서 아무도 한하운의 이름을 쓰지 못하게 특허를 낸 것이다. 특허를 낼 때 한하운의 이름으로 행사도, 책도, 글도 함부로 쓰지 못하게 했다. 하지만 여기저기 시비를 세우고, 글도 함부로 베껴서 쓰고 있다”

일부 회원이 고발하자는 의견을 내기도 했지만 일일이 말릴 수도 없고 사회적 물의만 일으키겠다는 판단에 기념사업회 쪽은 자제하고 있다.

한하운기념사업회, 한하운 다룬 영화필름 찾고 있어

▲ 정일상 한하운기념사업회 명예이사장.
정 명예이사장이 속상한 건 한하운을 함부로 도용하는 게 아니라, 한하운과 관계있는 지방자치단체의 태도다.

“5~6년 전에 인천시청을 여러 번 방문했다. ‘돈은 우리가 낼 테니 한하운 시인을 기리는 행사를 같이 하자’고 해도, 전혀 반응이 없었다. 김포시청에도 몇 차례 갔는데, 본체만체하더라. 김포문인협회에도 연락했는데 연락이 잘 안 됐다. 심지어 매해 2월 한하운 기일에 제수 음식을 우리가 준비해 같이 점심이라도 먹자고 해도, 적극적이지 않았다. 그런데 지난해부터 태도가 달라졌다”

한하운기념사업회는 특허 등록을 한 다음 2013년에 계간지 한하운 문학 ‘보리피리’ 창간호를 발행했다. 당시 한하운기념사업회 이사장이었던 정일상씨가 한하운문학회를 만들고 ‘보리피리’ 발행인을 자임했다. 한하운의 문학을 재조명해 그의 문학정신을 기리고, 현대문학을 발전시키자는 취지였다. 계간지를 표방한 ‘보리피리’는 현재 1년에 한두 권 발행되고 있다. 올해 7월에 5호가 출간됐고, 12월에 6호가 발행될 예정이다.

한하운문학회와 기념사업회 회원들이 십시일반 해책을 내지만, 적자를 정 이사장이 메웠다. 이종석 시인은 현재 몸이 아파 거동하지 못한다.

“문학회나 기념사업회 회원들은 내 마음과 다르게 적극적이지 않아 속상할 때도 있지만, 이종석 시인과의 의리와 어려운 환경에서도 체념하지 않고 시로 승화시킨 한하운 시인의 정신을 높이 평가하기에 이 일을 그만 둘 수 없다”고 정명예이사장은 말했다.

기념사업회 이사장으로 다른 사람을 세우고 명예이사장으로 물러난 것도 회원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한하운기념사업회가 파악하기로는 1962년 6월에 주한 미국문화원에서 한하운의 전기 ‘황토길’을 영화로 제작했다. 이 영화는 한하운의 ‘나의 슬픈 반생기’를 원작으로 했으며 흥행을 목적으로 하지 않겠다는 계약조건으로 제작해 영화필름이 현재 주한 미국문화원에 보관돼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주한미대사관에 여러 번 갔다. 영화필름을 복사하려고 갔는데 원본 필름을 찾지 못했다. 주한미대사관 공보과에서는 찍었다는 사실은 확인했지만, 필름의 존재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한하운기념사업회는 장기적으로 시비 건립과 유택 이전 계획을 가지고 있다. 정 명예이사장은 “한하운 시인을 공동묘지에 그대로 두는 게 아니라 좋은 곳으로 모실 계획을 세우고 있고, 지인 추천으로 강화를 알아 보고 있다. 그러나 김포시에선 반대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서 “한하운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문학 활동도 활발히 할 계획이다. 한하운의 문학이 훌륭해서라기보다 문둥이라는 어려운 조건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삶을 승화한 그의 정신을 높이 생각하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하운 유택 있는 김포에서 문인들 뜻을 모으다

▲ 지난 6월 11일 김포문인협회가 주최한 6회 김포한하운문학제가 열렸다.
1992년 창단한 김포문인협회는 1997년에 김포에 한하운 유택이 있다는 걸 처음 알았다. 그 후 이따금 시낭송회 등을 진행하다가 2011년부터 꾸준히 ‘김포한하운문학제’를 열고 있다.

하영이 김포문인협회(이하 김포문협) 고문은 “2011년에 강화도에 있는 가천의대에서 경기ㆍ인천지역 대상으로 문화행사를 지원하는 공모사업을 한 적이 있다. 김포의 문학동아리 ‘시냇물’이 지원금 100만원을 받았다. 당시 김포문협 고문으로 있던 내게 자문해, 김포에 있는 문학동아리들을 모두 모아 한하운 시인의 문학정신을 이어나가는 행사를 하자고 제안했다. 그게 1회 김포한하운문학제였다. 내가 그때 추진위원장을 맡았다”고 말했다.

행사를 치르는 데 지원금만으로는 부족했다. 단체들과 뜻 있는 사람들의 후원으로 행사를 치렀다. 이들은 지원이 없더라도 문학제는 계속 이어져야한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지난해 김포문화재단이 생겼고, 재단은 올해 처음으로 한하운문학제를 지원했다.

김포문협은 1997년에 한하운 유택을 관리하는 사람을 수소문했다. 공원묘지관리사무소에 문의해 무연고 묘지라는 걸 확인했다. 몇 해 전 다시 확인하니, 이종석 시인이 관리자로 등록돼 있었다. 김포문협은 지난해 11월 20일 유택 공동 관리자로 등록하면서 2018년까지 묘지 관리비를 납부했다.

하영이 고문은 “한하운 시인을 기리는 행사를 여러 단체에서 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다. 각 단체의 성격에 맞게 다양하게 진행하는 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뒤 “김포에 유택이 있는 만큼 지역 문인들이 그 분의 뜻을 받들어 잘 챙기고 문학정신을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 앞으로도 지원이 있든 없든 김포의 문인들은 뜻을 모아 조촐한 행사라도 계속해나갈 것이다. 그러다보면 많은 사람이 한하운 시인에 관심을 가질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 이 기획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