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사회서비스원, 장애인 체육선수 인권 실태조사 발표

인천투데이=현동민 기자│인천시 장애인 전문체육선수 중 약 40%가 인권침해를 겪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장애인권익옹호기관을 수탁 운영 중인 인천사회서비스원이 지난 29일 진행한 '인천 장애인 전문체육선수 인권 실태조사 보고서' 결과를 보면, 장애인 선수 10명 중 약 4명이 인권침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광역시사회서비스원 로고.(사진제공 인천사서원)
인천광역시사회서비스원 로고.(사진제공 인천사서원)

인천사회서비스원은 올해 6~9월 인천시에서 활동 중인 장애인 전문체육선수 286명과 감독·코치 등 종사자 33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했다. 선수 중 시각장애와 발달장애가 있는 선수 100명은 권익옹호기관 직원이 직접 방문 조사를 시행했다. 조사 과정에서 학대 의심 사례 9건을 발견해 상담·조사 등을 진행했다.

결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 319명 중 35.6%(114명)가 인권침해가 있다고 답했다. 매우 심각하다고 답한 비율도 9.6%(31명)로 나타났다. ‘전혀 없다’와 ‘없다’는 각각 21.8%(69명), 33%(105명)로 나타났다.

인권침해를 직접 당하거나 목격한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엔 72.8%(232명)는 ‘없다’ 고 했다. 그러나 14.6%(46명)는 ‘직접 목격하거나 전해들었다’ 고 답했으며, 직접 경험 했다는 응답은 12.6%(41명)로 조사됐다.

직접 경험했다고 답한 응답자와 목격하거나 전해 들었다고 답한 응답자 총 8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권침해 유형 조사 항목으로는 따돌림과 유언비어 유포 24.3%(20명), 고함이나 언어적 협박 18.3%(15명), 체벌이나 기합 17.4%(14명), 욕설 17.4%(14명), 구타 12.2%(11명) 순으로 나타났다.

인권침해를 입거나 목격했어도 40.6%(35명)는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했다’고 답했으며, ‘대응했다’는 답변은 26.6%(23명)였다. 가해자로는 동료 선수가 52.6%(45명)로 가장 많았고, 감독과 코치는 40.4%(35명)를 차지했다.

체육시설을 이용할 때도 인권침해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전문 체육선수 286명 중 32.4%(93명)는 ‘이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 수가 부족해 이용을 포기’ 했다고 답했다. 22.8%(65명)는 이용할 수 있는 체육 프로그램 부족, 22.5%(64명)는 비장애인 눈치가 보여 체육시설 이용을 포기했다고 답했다.

인천 장애인 전문체육선수 인권실태조사 보고회
인천 장애인 전문체육선수 인권실태조사 보고회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 절반은 인권침해가 발생했을 때 도움받을 기관을 인지하지 못했다. 인권침해 신고기관, 권익옹호기관, 스포츠윤리센터를 모른다는 응답은 각각 42.4%(122명), 55%(158명), 50.2%(144명)로 나타나 절반 정도를 차지했다.

종사자 총 33명은 인권침해 목격 여부 질문에 6%(2명)만 '목격했다'고 답했다.  하지만 인권침해를 목격한 종사자 2명 모두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대응하지 못한 이유에 ‘나만 더 힘들어질 것 같아서’, ‘내 소관이 아니라서’라고 응답했다.

이러한 실태 해결 방안으로 인천사서원은 장애인 선수가 이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 증설 또는 시설 접근성 확대, 시설에 장애인 선수 할당제 도입 등이다. 이어 체육시설 모니터링 요원을 선발해 현황을 점검하고 체육시설 정보를 시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는 방법도 제시됐다.

아울러 근로지원자 확대와 상담 청구를 마련하는 방안도 나왔다. 근로지원자는 능력은 있으나 장애 때문에 업무 수행에 어려움을 겪는 중증장애인 노동자를 돕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인권침해 시 대처 방법 등 다양한 인권교육 자료를 개발하고 지원단체가 인권침해 현장에 즉각 개입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창했다.

실태조사 연구를 맡은 전지혜 인천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권익옹호기관과 함께 실시함으로써 현장 조사 때 학대 의심 사례 발견 시 즉각 개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컸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이어서 “한국 사회가 따돌림, 괴롭힘과 같은 일상의 차별 행위를 인권침해로 인식하는 인권 감수성 수준이 올라가면 장애인 선수에 대한 인권침해 역시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