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연재] 한국 이민사 120주년
① 인천에서 시작한 한국 이민 역사
인천내리교회 조지 존스 목사 추천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서 고된 생활

인천투데이=김현철 기자│

‘디아스포라’는 특정 민족이 자의 또는 타의로 기존에 살던 땅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집단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1883년 개항 이후 당시 제물포항 인근(현재 중구)에 형성한 차이나타운부터 시작해 연수구 함박마을엔 구한말 연해주에 살던 조선인의 후손인 고려인이 다수 거주하고 있다. 이 밖에도 많은 외국인이 인천 곳곳에서 집단을 형성해 거주하고 있다.

120년 전 인천은 대한민국 이민사가 시작된 곳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이민사가 시작한 도시이자, 하늘·바닷길로 들어온 다양한 정체성을 보유한 이주민이 정착해 살아가는 도시가 인천이다. 그래서 인천을 ‘디아스포라’의 도시로 부른다.

대한민국 이민사 120주년을 기념해 이민을 떠났던 당시 동포들은 어떻게 살았는지, 현재 그 후손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 살펴본다. <기자말>

[연재] 한국 이민사 120주년

1. 인천에서 시작한 한국 이민 역사

2. 고된 노동에도 고국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이민자들

3. “한국에도 MIT 같은 공대가 있어야 한다”

4. 이민 1세대 후손은 120년 후 어떻게 살고 있나

 

미국 태평양 횡단기선 갤릭 호.(사진제공ㆍ인천이민사박물관)
미국 태평양 횡단기선 갤릭 호.(사진제공ㆍ인천이민사박물관)

인천에서 시작한 한국 이민사

한국 이민사는 120년 전 인천에서 시작했다. 인천에서 떠난 첫 이민 행렬은 121명이었고, 하와이에 86명이 도착했다. 약 120년이 지난 2021년 현재 외교부가 집계한 재외동포는 732만5143명으로 크게 늘었다.

1902년 인천에서 떠난 이민 행렬을 대한민국 첫 이민사로 칭하는 이유는 대한제국이 공식 발행한 여권을 소지한 채 떠났기 때문이다.

첫 이민을 시작한 1902년은 국호를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고쳐 내외에 선포한지 5년이 되던 때로 국·내외 정세가 혼란스러운 시기였다.

국호를 바꾸기에 앞서 1884년 갑신정변을 겪었고, 국호를 바꾼 뒤 전제군주제와 입헌군주제 도입을 놓고 국내 정치가 다투는 틈을 타 외세가 조선 침략의 야욕을 드러내고 있었다.

1899년 3월 동해 포경권을 러시아에 뺏겼고, 1900년 마산항 일부 토지를 러시아가 통치할 수 있게 열어줬다. 같은 해 일본에게 경상·강원·함경·경기도 어업권을 뺏기고 인삼위탁판매권을 허락했다. 1902년엔 일본제일은행권이 법화로 한국에서 통용됐다.

대한민국 최초 공식 해외 이민이 시작한 1902년 당시 민중들이 이민을 선택한 것은 살아남기 위한 방편 중 하나였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인천내리교회(선교 100주년 기념 예배당) 전경.
인천내리교회(선교 100주년 기념 예배당) 전경.

인천 내리교회 존스 목사의 권유

다만, 당시 정서상 조국을 떠나 타국에 정착해 산다는 것이 내키지 않았다. 이 때 나선 사람이 제물포웨슬리메모리얼교회(현재 인천 내리교회) 담임 목사 조지 존스(G.H Jones) 목사였다.

존스 목사는 혼란스러운 정세로 조선사람들이 비참한 현실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1902년 존스 목사는 신병치료차 하와이에 체류 중이었는데 하와이 노동 이민을 추진하던 호레스 알렌 미국대리공사를 만났다. 존스 목사는 조선사람들이 하와이에선 열심히 일하면 누구나 잘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기독교인들에겐 신앙생활이 보장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다.

대한제국(조선)에 도착하자마자 내리교회 교인들에게 노동 이민 중요성을 강조하며, 노동 이민을 추진했다. 첫 이민 행렬에 참여한 121명 중 50여명이 내리교회 교인이었다는 점에서 존스 목사의 의지를 알 수 있다.

노동 이민을 신청한 교인 50여명과 부두노동자 20여명, 상인 30여명 등 121명으로 구성한 1차 이민단은 1902년 첫 이민길에 올랐다.

한국이민사박물관 내부 모습.
한국이민사박물관 내부 모습.

하와이 땅에 첫 발을 내딛은 86명

이들은 1902년 12월 22일 미국 비자와 신체검사 등을 위해 일본 나가사키로 향하는 켄가이마루호에 승선해 제물포항을 출발했다.

이 중 102명이 첫 이민선인 갤릭호를 타고 요코하마를 거쳐 1903년 1월 13일 하와이 호놀룰루항에 도착했다. 하와이에 도착한 102명 중 16명이 질병으로 송환 당해 86명이 최종 상륙 허가를 받는다. 86명이 대한민국 첫 이민자인 셈이다.

102명 중 86명이 인천사람으로 기록돼있는데 첫 이민자 86명과 명단이 일치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다. 다만 제물포항 개항 이후 서양사람과 왕래가 잦고, 선원들의 경우 일본과 중국을 오가는 등 인천사람들이 신문물에 거부감이 크지 않아 이민행렬에 올랐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렇게 시작한 하와이 이민은 3년 뒤인 1905년 이민이 중단될 때까지 64회 진행됐고, 이민자는 7415명에 이르렀다.

이 자료는 미국 국립문서기록 관리청이 소유하고 있으며, 이덕희 하와이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구원이 이 자료에서 한인 이민자 7415명 명단을 추려냈다. 이 문서는 첫 공식 이민 행정 문서이다.

이 중 1차 이민자가 승선했던 갤릭호 승선자 명단이 인천 소재 한국이민사박물관에 전시돼있다.

하와이에 처음 발을 내딛은 1차 이민자들은 검역과 입국 절차를 마치고 협궤 열차를 탄 뒤 오아후섬 와이알루아 농장에서 이민생활을 시작했다.

사탕수수농장에서 일하는 이민자들은 조선 땅에서 품었던 기대와 달리 뜨거운 햇빛 아래 관리인의 감시를 받으며 고된 노동에 시달렸다.

전해지는 이들의 일과는 새벽 4시 30분에 기상해, 아침식사를 한 뒤 오전 6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점심시간 30분을 빼고 10시간 일을 했다. 허리가 아파 잠시라도 허리를 펴면 말을 탄 감독관의 채찍질을 받아야 했다.

이들은 현금으로 월급을 받았는데 하루 품삯은 당시 50~80센트였다. 하와이에 온 이민자 7400여명 중 4400여명이 현지에 남고, 2000여명은 미국 본토로 이주했다. 나머지는 조국으로 돌아왔다.

미국 본토에서 새로운 이민생활을 시작한 조선인(한인)들은 캘리포니아 또는 뉴욕에 정착해 농사·채소판매·식당일을 하며 살았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국내에서 살기 어려워진 한인들은 미국뿐만 아니라 중국·러시아 등으로 건너갔고, 독립운동의 거점을 마련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