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협의회 6차례 회의에도 협의 안 돼
음식물쓰레기 문전배출 주민반대 부딪혀

[인천투데이 이서인 기자] 인천 연수구(구청장 고남석)가 송도국제도시 쓰레기자동집하시설 관련 음식물쓰레기 수거방안을 놓고 주민들과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연수구는 지난해 6월 주민대표 12명, 공무원 4명, 시의원 1명, 구의원 3명, 전문가 3명, 시민단체 2명 등으로 ‘송도 쓰레기자동집하시설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회의를 6차례 진행했지만, 음식물쓰레기 배출방식에서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열린 송도 쓰레기자동집하시설 민관협의회 1차 회의 장면.(자료사진)

송도 쓰레기자동집하시설은 현재 송도1-1ㆍ1-2ㆍ2ㆍ3ㆍ4ㆍ5ㆍ7공구에 설치돼있다. 집하장 7개와 지하관로 53.6km를 2016년부터 연수구가 운영하고 있다. 이 자동집하시설은 1465억 원을 들여 건설했고, 하루 평균 쓰레기 35톤을 모아 처리시설로 보낸다.

이 자동집하시설은 생활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관로 하나로 통과시켜 처리하는 방식이라 음식물쓰레기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환경부는 지난해 4월 ‘쓰레기 수수료 종량제 시행 지침’ 개정안을 마련해 송도 쓰레기자동집하시설처럼 음식물과 생활쓰레기 분리수거가 불가능할 경우 문전수거 등을 하게 한다.

연수구는 환경부 지침을 따르기 위해 지역 수요조사 후 음식물쓰레기 문전수거 시범사업을 운영하려했으나 주민들 반대의견이 많아 취소했다. 음식물쓰레기 문전수거 방식은 설치ㆍ운영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쓰레기 수거차량 거리 운행 등을 이유로 주민들이 반대하고 있다.

국제도시송도입주자연합회는 지난해 11월 “음식물쓰레기 문전수거 방식은 쓰레기차 없는 클린시티 송도국제도시 이미지를 만드는 데 문제가 된다”라며 “송도 고층아파트 구조상 음식물쓰레기 문전배출 방식이 불편하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처리 방식으로 ‘감량화기기’ 설치가 있는데, 이는 쓰레기차 수거ㆍ운반이 불필요하며 단지 안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대형 감량화기기는 초기 설치비만 300억~400억 원이 들어 주민 부담이 생기고, 오물분쇄기 방식은 가정마다 별도 유지ㆍ관리를 수행해야하고 하수처리 용량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연수구 관계자는 “자동집하시설은 부지 조성 원가에 포함돼 주민 부담으로 만들어진 시설이므로 주민들과 협의해 해결방안을 도출해야한다”라며 “음식물쓰레기 처리방식 내부 검토 후 자동집하시설 민관협의회 회의 일정을 잡을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