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나노섬유 소재 추출 성공
전기차 화재 문제 해결책 제시

인천투데이=현동민 기자│인하대학교가 반고체 배터리의 전해질 개발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전해질은 물과 같은 용매에 녹아서 이온(전기를 띤 원자, 원자단)을 형성해 전기가 통하는 물질이다.

인하대는 오동엽 인하대 고분자공학과 교수를 중심으로 박제영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황성연 경희대학교 식물환경공학과 교수 공동연구로 200ppm(약 0.02%) 극소량만 첨가해도 단단하게 굳힐 수 있는 나노 소재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사진 왼쪽부터) 오동엽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교수, 박제영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황성연 경희대학교 식물환경공학과 교수 (사진제공 인하대학교)
(사진 왼쪽부터) 오동엽 인하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교수, 박제영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황성연 경희대학교 식물환경공학과 교수 (사진제공 인하대학교)

이번 연구 성과는 전기차 소비자들이 우려하는 화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기존 배터리 액체 전해질은 양극(전기 기기에서 전류가 흘러 들어가는 전극)과 음극(두 전극 사이에 전류가 흐를 때 전위가 낮은 극) 사이의 이온 전달을 담당한다. 이로 인해 액체 전해질이 외부 충격에 노출되면 밖으로 누수될 위험이 있고, 이 때문에 내부 소재에 물리적 손상을 줘 폭발이나 발화의 위험이 있다.

반면, 반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고체 형태로 돼 있어 쉽게 새지 않아 내부 부품에 물리적 손상을 최소화해 폭발, 발화 위험이 크게 감소한다는 점에서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반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하기 위해선 고체 전해질 개발이 필요하다. 고체 전해질은 외부 충격에 강하고 형태를 잘 유지하면서 내부 이온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고체 전해질은 액체 전해질 고분자 물질을 첨가해 굳힌 젤을 이용해 만든다.

기존의 고체 전해질은 10%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 내부 이온 확산 속도가 매우 낮다. 이에 더해 첨가제 양을 줄이면 형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한 나노 소재는 고체 전해질 개발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방탄복 제작에 사용하는 고강도 섬유인 케블라에서 특별한 나노섬유 소재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케블라 나노섬유 1g은 물, 액체 전해질, 화장품용 오일 등 다양한 액체를 최대 5L까지 굳힐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케블라 나노섬유가 건축물 철근과 같은 역할을 해 젤을 구조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이다. 첨가하는 양도 매우 적어 이온 등 내부 물질의 확산 속도가 순수 액체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크게 없다.

케블라 나노섬유를 첨가해 만든 수화젤(물에 참가제를 넣어 만든 젤)은 뛰어난 강도를 가진다. 수화젤은 2Kg의 하중에도 무너지지 않고 버틸 수 있으며 1만번 반복적으로 찌그러뜨렸을 때도 본래 모양을 회복했다.

오 교수는 “케블라 나노섬유는 고체 전해질 활용뿐 아니라, 인공 관절 제조와 사막 지역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수분 보유 재료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