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상용위성 탑재...국방과학연구소-한화시스템 협력
소형위성 저궤도 신속투입 액체연료보다 발사·취급 간편
민간 기술이전 머지않아...인천 해양항공 분야 활용 기대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국내 기술로 개발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로켓)에 민간 상용위성을 실은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향후 우주기술 민간 이전(스핀오프, spin-off)에 따라 인천을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도 독자적으로 인공위성을 보유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평가다.

ㆍ[관련기사] 북측 이어 남측도 최초 군용 정찰위성 발사 성공

ㆍ[관련기사] 누리호 파급효과 인천 ‘항공우주산학융합원’ 역할 커진다

국방과학연구소는 지난 4일 제주도 중문 해안에서 4km 떨어진 해상 바지선에서 발사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위성이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사진제공 국방부)
국방과학연구소는 지난 4일 제주도 중문 해안에서 4km 떨어진 해상 바지선에서 발사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위성이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사진제공 국방부)

국방과학연구소는 지난 4일 제주도 중문 해안에서 4km 떨어진 해상 바지선에서 발사한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위성이 성공적으로 궤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이 우주발사체는 1~3단은 고체연료, 4단은 액체연료를 사용했다. 1차 발사인 작년 3월과 2차 발사인 지난해 12월에는 2·3·4단 추진체를 시험했고, 이번에는 1·3·4단 추진체를 시험했다. 오는 2025년 최종시험 발사 때는 1~4단 추진체를 모두 갖추고 위성을 쏠 계획이다.

이번 3차 시험발사에 쓰인 탑재체는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소형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이다. 무게는 약 100kg이며, 약 650km 우주 궤도에 진입했다.

1~4단 고체연료 발사체가 완성되면 무가 500~700kg 위성을 우주궤도에 올릴 수 있다. 국방부는 최종적으로 탑재 중량을 1500kg까지 늘리는 게 목표다.

국방부는 고체 연료 우주발사체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민간에 해당 기술을 이전해 한국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기술 이전 대상은 독자적으로 위성 발사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기업이다.

각 지자체 인공위성 보유 경쟁 인천 도전... 해양항공 분야 활용 가능

액체연료 로켓은 비용이 많이 들고 저장이 어렵고 발사 준비에도 수십일 이상 소요되나, 고체 연료 발사체에 비해 무거운 탑재체도 궤도에 올릴 수 있다. 올해 5월 위성을 싣고 3차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KSLV-Ⅱ)가 액체연료를 사용했다.

반면, 고체연료 발사체는 구조가 단순하고 저장과 취급이 용이하다. 발사 준비기간도 7일 이내로 신속하게 준비할 수 있으며, 발사 비용도 액체연료 로켓에 비해 적다.

현재 인천시를 비롯한 각 지자체는 인공위성을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계획을 구상 중이다. 고체연료 발사체를 활용한다면, 인공위성을 쉽게 보유할 수 있다.

해양항공도시를 표방하는 인천시는 해양쓰레기, 불법 중국어선, 해양 생태계 관측 등 실질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위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스핀오프)가 발생하면, 항공우주산업을 집중 육성 중인 인천의 산업구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인천에 항공우주산학융합원과 미래우주교육센터,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등 우주탐사 분야를 이끌 주요 연구기관과 대학이 있다. 또한 인천 소재 우주분야 연구개발 기업은 송도국제도시를 중심으로 20여개가 입주해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유창경(인하대 항공우주공항과 교수) 항공우주산학융합원 원장은 “고체연료 발사체 성공은 경제적 파급효과 뿐만 아니라 인천시가 향후 인공위성을 보유하는 데 한 걸음 나아가게 된 것”이라며 “인천시도 한국형 우주발사체 개발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