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통제하며 프로파간다로 활용한 독일 나치 역사 전시하며 반성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주관한 2023년 KPF 독일 로컬저널리즘 연수 과정에 참여해 9박 11일 일정으로 지방분권과 지역언론이 발달한 독일을 다녀왔다. 독일의 언론 역사는 약 400년을 자랑한다. 독일 언론 역사가 세계 언론 역사의 시작이나 다름없다.

독일의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을 제외한 신문은 약 350개에 달하고, 이중 306개가 지역언론에 해당한다. 독일은 강력한 지방분권에 기초한 연방제 국가이기에 지역언론의 토대가 탄탄하다. 매일 약 1350만부가 발행되고, 피디에프(PDF) 파일 형태의 온라인용 이페이퍼(e-paper) 발행부수만해도 약 260만부에 달한다.

이런 독일도 구글과 같은 대형 포털의 뉴스잠식과 유튜브와 틱톡, 인스타그램, 페이스북과 같은 플랫폼 뉴 미디어의 급속 성장에 따른 종이신문 구독 하향세, 그리고 최근엔 디지털콘텐츠 생성형 AI(인공지능) 등장으로 저널리즘의 위기를 맞고 있다. 독일의 지역언론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연수 때 보고 들었던 내용을 정리해 연재하고자 한다. <기자 말>

[연재순서]

1.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
2. 커뮤니케이션 박물관과 문자박물관
3. 독일신문발행인협회
4. 협동조합 정론지 타쯔
5. 베를리너 짜이퉁
6. 독일연방정치교육원
7. 솔류션저널리즘 본인스티튜트
8. 라이니쉬 포스트
9. 로컬 미디어 스타트업 피어눌
10. 도르트문트 공대 저널리즘학과

고려 다음으로 금속활자 개발해 인쇄술 꽃피운 독일

독일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 전경
독일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 전경

인류가 지식과 정보를 저장하고 계승하면서 문명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수단은 의사소통이다. 의사소통에 필요한 미디어 즉 매체를 만들고 사용하는 능력을 개발했다는 사실이다.

원시공동체 사회 때 별다른 기록 수단이 없던 시절, 특정 지역에서 공동체를 이루고 살던 조상들은 그들만의 언어로 구전하면서 정보를 교환하고 저장하고 소통했다. 그 뒤 문자가 탄생하면서 지식과 정보를 저장하는 게 수월해지고 방대해졌다.

여기서 더 나아가 필사에 의존하던 인쇄가 목판활자와 금속활자를 거치면서 인쇄술은 더욱 발달했고, 책의 보급이 확산됐다. 특히,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는 한국(고려)에서 발명했는데, 금속활자의 발명은 인류 문명사에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바로 인쇄 매체의 등장이다.

신문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세계 최초의 신문이 언제 어디서 등장했는지에 대한 여러 의견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유럽에선 1605년 독일에서 발행된 ‘Relation aller Fürnemmen und gedenckwürdigen Historien’을 최초의 신문으로 인정하고 있다. 세계신문협회(The World Association of Newspapers)도 이를 세계 최초의 신문으로 인정하고 있다. 독일에서 신문이 발달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1440년 구텐베르크가 독일 마인츠에서 개발한 금속활자 덕이다.

독일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 내부 모습 일부
독일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 내부 모습 일부

한국에는 없는 독일의 커뮤니케이션 박물관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조정에서 발행한 관보인 조보를 최초의 신문으로 보는 시각이 있다. 조보는 조선 초기에서부터 1895년까지 승정원에서 발행한 조정의 소식지이다. 주로 조정의 소식을 필사해 관료들에게 배포했다. 하지만 이를 신문으로 여기긴 어렵다.

한국 언론사에서 근대적 개념의 최초 신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한성순보이다. 한성순보는 1883년 창간됐다. 열흘에 한 번씩 발행했다고 해서 순보라고 했다.

한성순보는 관보 성격이 있어 순 한문으로 제작됐다. 당시 조정 관리들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신문이었기에 이들의 정보 독점을 위해 신문에 한글 대신 한문을 사용했다.

비록 순 한문을 사용했지만 기사의 내용은 과거 조보가 다루지 않았던 시사 내용이나, 새로운 문물과 사상을 소개하는 등 나름 근대적인 신문의 모양새를 갖췄기에 한국의 최초 신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신문박물관은 과거에 멈춰있고, 올해가 공영방송 70주년 되는 해라고 하지만 방송역사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박물관은 없다. 일제시대 언론탄압과 군부독재 시절 언론탄압과 통폐합, 언론을 권력유지의 수단으로 활용한 보도지침 등 언로를 차단하고 민주주의를 탄압한 역사를 기록해놓은 곳도 없다.

2008년 스마트폰 등장 이후 빠르게 성장한 디지털 미디어가 언론계는 물론 사회에 미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슬기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활용해야 하며, 어떤 규제가 필요한지 설명해주는 공간이 없고 교육조차 조차 없다.

독일 나치가 프로파간다로 활용한 정보통신기기.
독일 나치가 프로파간다로 활용한 정보통신기기.

언론 통제하며 프로파간다로 활용한 독일 나치 역사 반성

반면 독일 베를린에 소재한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Berlin Kommunikation Museum)은 한국에 없는 박물관으로 미디어의 변천사는 물론 미디어의 변천사를 통해 역사를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이자,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의 역할을 배울 수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한국에 많은 시사점을 전한다.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은 독일우체국(도이체포스트)과 독일통신사(도이체텔레콤)가 설립한 연방재단이 운영하는 박물관이다. 1990년 독일 통일 후 독일 연방정부는 1995년 ‘우편 및 통신 커뮤니케이션 박물관재단 설립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지속과 정보 전달 기술의 역사를 보존하고 기록하며, 민주주의에서 언론의 역할까지 교육하고 있다.

박물관은 1872년 세계 최초 우체국 박물관으로 설립됐다. 그 뒤 앞서 얘기한 것처럼 커뮤니케이션 박물관으로 확대됐다. 박물관에 들어서면 1층에 편지에서 전신으로, 전화로 정보 전달의 역사가 어떻게 발전했는지 보여준다. 독일은 5마일 마다 역을 설치해 편지를 전달했다고 한다.

박물관엔 우편과 전신에 이어 1930년대 등장했던 헤드폰과 깡통 전화기부터 독일 나치(국가사회주의 전체주의)당과 히틀러가 대 국민 선전과 선동을 위한 프로파간다로 사용하기 위해 값싸게 국민에게 보급한 수신기 ‘VE301’까지 전시하고 있다.

그리고 그 라디오 아래엔 “모든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나치를 전달하는 데 사용됐다. 저렴한 국민 수신기는 전체주의를 위해 사용됐다.” 1차, 2차 세계대전의 전범 국가였던 독일은 자신들의 박물관에 나치독재 권력의 언론장악 역사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독일의 나치 정권은 1933년 히틀러가 독재를 시작하며 시작됐다. 독일 커뮤니케이션 박물관엔 나치의 보도지침에 해당하는 외국방송 청취를 금지한 1939년 9월 1일 나치의 특별방송대책지침까지 그대로 전시하고 있다. 

나치의 최고 선전, 선동가인 전범 괴벨스도 빼놓지 않았다. 박물관에선 나치 독일정부의 선전부 장관 괴벨스의 “방송은 선전의 관점에서 긍정적 보도를 해야 한다”는 육성을 들을 수 있다.

박물관은 나치 권력이 언론을 프로파간다로 이용했음을 있는 그대로 전하면서 비판한다. “라디오는 가장 현대적이고, 대중에게 영향을 주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는 괴벨스의 문장과 음성은 국민수신기와 함께 라디오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밖에도 독일이 분단 돼 있을 당시 동독 정부가 라디오와 티브이를 프로파간다에 이용하기 위해 어떻게 활용했는지도 있는 그대로 다룬다. 반성에서 성찰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이 이 박물관에서 이뤄지고 있다.

독일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 관람객(KPF 로컬저널리즘 연수단)
독일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 관람객(KPF 로컬저널리즘 연수단)

베를린 학생은 최소 한번 커뮤니케이션박물관을 방문한다

베를린 커뮤니케이션 박물관이 이를 다루는 이유는 명확하다. 가장 큰 이유는 독일 나치 전범 역사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성찰이다. 언론을 권력 유지를 위한 프로파간다로 활용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자신들의 역사를 통해 교육하고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현재 독일 일부 지역에선 극우 정치세력이 증가하는 상황이라, 자신들의 잘못된 역사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을 알리고 있다.

박물관의 가장 큰 특징은 베를린의 학생들이 끊임없이 들어온다는 것이다. 베를린 학생들은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에 최소 한번은 이곳을 방문한다고 한다. 학생들은 이곳에서 의사소통하는 법과 함께 민주주의를 배운다.

학생들과 같이 온 선생님은 자세를 낮춰 학생들과 눈을 맞추며 박물관에 있는 여러 정보 전달수단의 기능과 역할을 교육하면서 자신들의 전범 역사까지 같이 교육한다.

독일 국민은 이처럼 어렸을 때부터 자신들의 전쟁범죄를 반성하는 것을 교육 받고 자란다. 아울러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의 자유와 언론의 중요성을 배우며 자란다. 유럽연합에서 독일이 공존할 수 있는 배경이 되는 셈이다. 

※본 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 ‘KPF 디플로마 로컬저널리즘’ 교육 과정 일환으로 작성했습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