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평화복지연대 논평, 15일 위령비 헌화에 ‘진정성’ 의문
“원주민 희생 관련 진정성 있는 사과와 귀향 대책은 빠져”
“인천상륙잔전 대규모기념화 비판 물타기 요식행위” 비판

인천투데이=장호영 기자|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대규모로 확대해 추진하는 가운데, 오는 15일 월미도원주민희생자위령비 헌화를 계획 중이다. 시민단체는 논평을 내고 진정성이 없다며 월미도 원주민 희생을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에 이용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13일 논평을 내고 “오는 15일 월미도원주민희생자위령비 헌화를 계획 중인 유정복 인천시장의 헌화가 진정성 있는 행보인지, 인천상륙작전 대규모기념화에 대한 비판을 물타기 하려는 요식행위인지 묻고 싶다”고 밝혔다.

인천 중구 월미도 제물포공원에 세워진 월미도원주민희생자위령비 옆에 인천시가 설치한 '73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 홍보 현수막이 설치돼있다. 현수막에는 상륙작전을 하는 동상(인천상륙작전 기념관에 있는 자유의탑)이 새겨져있다.(사진제공 인천평화복지연대)
인천 중구 월미도 제물포공원에 세워진 월미도원주민희생자위령비 옆에 인천시가 설치한 '73주년 인천상륙작전' 기념 홍보 현수막이 설치돼있다. 현수막에는 상륙작전을 하는 동상(인천상륙작전 기념관에 있는 자유의탑)이 새겨져있다.(사진제공 인천평화복지연대)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월미도 원주민들의 희생에 대한 공식적이고 진정성 있는 사과와 귀향에 대한 대책이 빠졌기 때문”이라며 “인천상륙작전 기념사업에는 국민 세금 30억원이 쓰이지만, 월미도 원주민들의 희생을 추모하기 위한 행사의 지방자치단체 예산이 2000만원인 것만 비교해도 인천시의 태도를 짐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을 진정한 평화와 화합의 행사를 만들려는 생각이 있다면, 유 시장은 정부를 대신해서라도 월미도 희생자들에 대한 진정성 있는 공식 사과를 하고 귀향대책을 우선 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는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올해 27억원, 내년 30억원 이상 예산으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시민사회단체는 전쟁을 관광 상품화하고 인천을 전쟁도시로 이미지화한다는 것에 대해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이 가운데 시는 평화와 화합의 도시를 위한 행사로 만들겠다며 이달 15일 월미도원주민희생자위령비에 헌화를 계획 중이다. 이 헌화식에 이종호 해군참모총장과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의 참여도 검토 중인 것으로알려졌다.

그런데 인천시민사회단체는 헌화에 앞서 미군·정부·국방부·지자체에서 월미도 원주민에게 공식적이고 진정서 있는 사과가 빠졌고, 월미도 원주민 귀향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위한 계획이 없기 때문에 헌화식이 진정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난 12일 월미도원주민 귀향대책위가 주최한 추모행사에 유정복 시장은 참석하지 않은 점과 시가 위령비 옆에 인천상륙작전을 하는 군인들의 동상 사진이 새겨진 인천상륙작전 홍보 현수막을 설치하고 헌화식을 하려는 점도 진정성이 없다고 판단하는 근거이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월미도 주민 희생위령비 옆에 인천상륙작전 군인이 새겨진 전승기념 홍보 현수막을 설치하고, 공식 사과와 귀향 대책이 빠진 채 위령비 추모를 한다는 것은 요식행위에 불과하다”며 “월미도 원주민 희생을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에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상륙작전 당시 폭격으로 불타고 있는 월미도의 민가 앞에서 한 주민이 미 해병대에게 지세를 설명하고 있다. 당시 월미도에는 20여 가구에 10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 월미전통공원 서북쪽 구릉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다.(출처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제공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전갑생 연구원)
인천상륙작전 당시 폭격으로 불타고 있는 월미도의 민가 앞에서 한 주민이 미 해병대에게 지세를 설명하고 있다. 당시 월미도에는 20여 가구에 10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 월미전통공원 서북쪽 구릉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다.(출처 미국 국립문서기록보관청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제공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전갑생 연구원)

한편, 월미도 원주민들은 1950년 9월 인천상륙작전 과정에서 미군의 폭격으로 100여명이 희생되고 생존한 주민들은 월미도에서 쫓겨났다.

월미도 주민들의 공통된 진술을 보면, 1951년 표양문 인천시장은 주민들에게 ‘미군 철수 후 다 돌아가게 해주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1971년 미군이 월미도에서 철수하고 해군이 다시 주둔하면서 2001년 인천시가 해군으로부터 땅을 매입했고 월미공원을 조성했다.

이에 분노한 월미도 원주민들과 인천시민사회단체는 농성을 시작했고 월미도 원주민들의 귀향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2008년 미군의 폭격으로 인한 사건이라는 진실이 밝혔고, 2022년 진실규명 결정 사건에 대해 배상·보상 법안 제정을 국회와 정부에 권고했다.

하지만 73년이 되도록 월미도 원주민들의 희생에 대해 미군·정부·지자체 등의 진정성 있는 사과는 한 차례도 없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