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 정책소통 페스티벌 토론회
지역경제 선순환 저해 10대 요인 발표

인천투데이=김현철 기자│인천의 지역경제 선순환이 잘 이뤄지지 않는 요인으로 인천 산업의 부가가치율이 너무 낮다는 점이 지목됐다.

28일 열린 인천시의회 ‘제2회 정책소통 페스티벌’ 중 ‘지역경제 선순환 연구회(대표의원 이병래)’가 주관한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김하운 인천시 경제특별보좌관은 인천의 지역경제 선순환 저해 10대 요인을 지목한 뒤 해결과제를 제안했다.

10우러 28일 열린 인천시의회 정책소통 페스티벌 중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한 산업구조 개선 방안 모색 토론회' 장면.
10우러 28일 열린 인천시의회 정책소통 페스티벌 중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한 산업구조 개선 방안 모색 토론회' 장면.

김 특보는 인천의 산업연관표 등 자료를 분석한 것을 보여주며 “인천 모든 산업의 중간투입률(58.9%)은 국내 평균(57.3%)보다 높다. 중간투입률이 높다는 것은 부가가치율이 낮다는 의미”라며 “서울(49%), 경기(56.4%), 부산(53.7%), 대구(52.6%) 등과 비교하면 인천은 8대 광역시ㆍ도 중 7위”라고 설명했다.

이어 “인천에서 부가가치율이 높은 서비스업(61.5%)은 인천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지만, 부가가치율이 낮은 운수ㆍ창고업(36.4%) 비중은 높다”며 인천의 산업구조 변경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와 함께 ▲낮은 지역 내 생산 비중 ▲높은 중간재 이입ㆍ수입 ▲낮은 정부 소비 ▲높은 역외 소비 ▲주거용 건설투자 의존 ▲낮은 기계류 투자 ▲지식생산물 투자 부진 ▲역외 소득 부진 ▲정부 이전 소득 부진 등을 지역경제 선순환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제시했다.

특히 김 특보는 역외 소득 부진을 두고 “인천의 지역총생산 대비 지역총처분가능소득이 다른 광역시에 비해 너무 낮다”고 말했다.

2018년 기준 인천의 지역총생산은 약 88조 원이며, 지역총처분가능소득은 약 92조 원이다. 이를 변동계수로 조정하면 약 105이다. 100을 벌면 105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를 두고 김 특보는 “부산(113), 대구(128), 광주(120), 대전(123) 등과 비교하면 인천은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역외 소득을 늘릴 방안도 함께 고민해야한다”고 말했다.

또, 김 특보는 인천의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해 ▲지역 산업의 생산성 제고(소부장 산업 등 지원) ▲산업구조 고도화(부가가치 고려한 산업구조 개편) ▲소비와 투자의 합리화 촉진(역외 소비ㆍ소득 시정) ▲지역 소득 기반 확충 등을 제시했다.

이어 진행된 토론에서 강원모(민주당, 구월2동ㆍ간석2동ㆍ간석3동) 시의회 부의장은 “인천이 바이오ㆍ드론ㆍ수소 등 새로운 산업을 받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며 “인천에서 새롭게 창업해 정착하는 비율도 높여야한다. 지금은 서울ㆍ경기 등으로 빠져나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민들의 반대로 시작한 지 1년 넘게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창업마을드림촌 사업을 보면, (새로운 산업을 받아들일) 시의 의지가 있는지 의문이다. 시가 강하게 치고나갈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조승헌 인천연구원 박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의도치 않게 공간과 접촉을 분할하고 격리되고 있다. 그 예로 인천의 역외 소비가 크게 줄었다”며 “이런 시대적 돌출 변수가 진행 중인 이 시점에서 지금껏 구석 대접을 받았던 지역경제 선순환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병래 시의원을 좌장으로 한 토론에는 강원모ㆍ안병배, 조승헌 박사, 장병현 시 일자리경제과장, 성하영 시 소상공인정책과장, 김준성 시 미래산업과장, 임근모 시 벤처성장팀장 등이 참가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