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와 미단시티 외국인투자자 반발 거셀 전망
인천녹색연합, "현 매립지에 직매립 제로화 현실적"

[인천투데이 김갑봉 기자]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 대체 후보지로 영종도 제2 준설토 투기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시와 서울시, 경기도는 대체 매립지 후보지 선정을 위한 연구용역을 19일 마무리할 예정이다.

현 수도권매립지는 인천과 서울, 경기도의 쓰레기를 매립하고 있는데, 4자(인천, 서울, 경기, 환경부) 합의에 따라 올해 3월까지 공동 대체 매립지 후보지를 마련하기로 했다. 수도권 광역지방자치단체 3개는 19일 용역 보고서를 받아 보완 작업을 거쳐 내달 말께 후보지를 확정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서울 내에 대체 매립지 마련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용역은 주로 인천과 경기의 해안을 후보지로 물색했는데, 그중 인천 중구 영종도 제2 준설토 투기장이 유력한 대안으로 알려졌다.

준설토 투기장은 항로의 수심 유지 등을 위해 바다에서 퍼 올린 모래 등을 쌓아두는 매립지로, 영종도 제2 준설토 투기장(416만㎡)은 영종대교 북단에 있다. 해양수산부가 2017년 4월 외곽 호안(높이 12m) 축조 공사를 마무리했고, 인천항 내항 북쪽 항로 준설토와 인천항 묘박지(배가 안전하게 머물 수 있는 해안 지역) 준설토 등을 매립할 예정이다.

영종도 제2 준설토 투기장 위치.

현 수도권매립지는 생활폐기물을 직매립(直埋立)하고 있는데, 대체 매립지는 직매립 대신 전처리 시설에서 소각 후 잔재물과 일부 불연성 건설폐기물만 처리할 예정이다. 잔재물과 건설폐기물을 준설토와 매립하겠다는 구상이다.

대체 매립지로 준설토 투기장이 유력하게 검토되는 것은 민원 발생이 다른 후보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인천연구원이 2013년에 대체 매립지 후보지 연구용역을 했을 때 검단산업단지 주변, 송도LNG인수기지 주변, 옹진군 북도면과 영흥면 등이 거론됐다. 주거 지역과 인접해 반발이 상당할 것으로 관측됐다.

수도권 광역지자체들과 전문가 등으로 구성한 대체 매립지 확보 추진단은 새로 조성할 매립지의 적정 규모를 100만~200만㎡로 추산했다. 100만㎡의 경우 15년, 200만㎡는 30년간 사용을 전망하고 있는데, 준설토 투기장은 이 조건에 부합한다.

하지만 영종도 제2 준설토 투기장 사용에 대한 반발도 만만하지 않아 시의 연구용역 결과대로 준설토 투기장이 대체 매립지로 쓰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우선 해양수산부가 동의할지 의문이다. 해수부는 준설토 투기장을 항만시설로 조성했기에, 투기장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데 부정적이다. 또, 투기장을 매립지로 사용할 경우 대체 준설토 투기장을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선뜻 동의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폐기물과 준설토를 같이 매립한다는 구상도 해수부 입장에선 납득하기 어렵다. 해수부는 인접한 1단계 준설토 투기장(약 330만㎡)에 한상드림아일랜드 조성을 구상하고 있기에 2단계 투기장이 매립지로 사용되는 것을 동의하기 어렵다. 2단계 투기장 역시 나중에 개발용지로 활용할 계획인데 준설토와 폐기물을 함께 매립할 경우 개발은 어려울 수 있다.

영종도 주민과 인천도시공사, 외국인투자자의 반발도 예상된다. 제2 준설토 투기장 맞은편은 미단시티이고, 카지노복합리조트를 조성 중이다. 복합 관광단지는 바로 맞은편에 대규모 매립지가 조성되는 것을 반대할 가능성이 높다.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은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에 대체 매립지 조성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인천시가 ‘4자 합의’와 ‘대체 매립지 조성’ 프레임에서 벗어나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 매립지에 쓰레기양이 늘고 있다. 쓰레기양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을 먼저 수립해야 한다. 수도권 광역지자체들이 각자 지역에 쓰레기 전처리 시설(소각장)을 설치해 현 매립지의 직매립을 제로로 만들어야한다”며 “대체 매립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쓰레기를 줄이는 정책이 먼저다. 직매립을 제로화하고, 현재 매립지의 인천시 관리 권한을 확대하는 방안이 현실적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