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부평 문화의거리에서는 ‘바퀴가 웃는 인천 만들기 프로젝트’ 사업 시작을 알리는 행사가 열렸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상가 등의 출입구 턱이나 계단을 경사로로 바꾸고 건물에 장애인화장실 등을 설치하는 것이 이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장애인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가 된다는 것은 유모차나 자전거 등을 이용하는 모두가 편한 도시가 된다는 것이며, 이를 ‘바퀴가 웃는 도시’로 표현했단다.

이 프로젝트는 장애인 편의시설이 잘 설치돼 있거나 개선 의지가 있는 업소를 ‘바퀴가 웃는 집’으로 선정해 홍보하고, 주변에 이 업소의 이용을 독려해 이웃 업소도 편의시설 개선을 유도하는 운동이다.

이날 행사에서 문화의거리의 상인 조직인 문화의거리발전추진위원회 김문곤 회장은 문화의거리가 그동안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거듭났지만, 장애인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던 게 사실이라고 고백했다. 장애인으로부터 이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을 들은 업소 주인은 “우리가 해야 할 일인데…” 하며 미안함을 내비쳤다. 

모두가 공감하는 이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위해선 상점가 상인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며, 또한 상인들에게도 득이 되는 일이다. 장애인들은 이동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재래시장보다는 대형마트를 많이 이용하는 것이 사실이다. 상점가나 재래시장에서 장애인이나 노인, 임산부를 위한 편의시설을 많이 확충하면 상권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건물주나 업소 주인이 편의시설을 개선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의식의 문제도 있지만 어느 정도 재정적인 부담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단체인 장애인자립지원센터에서 한국토지공사의 지원 사업에 프로젝트를 제출했고, 2년 동안 6000만원이라는 예산을 지원받아 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 이제 프로젝트의 지속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가 과제다. 

이 프로젝트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성공하기 위해서는, 즉 바퀴가 웃는 인천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가 함께 해야 한다. 자방자치단체의 몫도 상당히 중요하다.

지자체 조례를 제정해 소규모 상가에서 장애인 편의시설을 만들려고 할 때 예산을 지원해주거나, 아예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상가 건물을 지을 때 편의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설치 예산을 지자체에서 일부 지원하는 것도 필요하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시 50%의 예산을 지원하는 조례가 이미 제정된 지자체도 일부 존재하고 있다. 명품도시 인천은 다른 데 있지 않다. 장애인을 비롯한 모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시, 바퀴가 웃는 인천이 곧명품도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