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환 예정인 부평미군기지의 활용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시가 마련한 공청회가 전면 공원화를 주장하는 시민단체와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공청회장에서 인천시 관계자는 “구상안은 확정되지 않은 계획일 뿐”이라며 “공청회 자체를 막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일면 타당한 발언이다. 하지만 이번 공청회 무산은 인천시가 자초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개발부지의 22.1%를 차지하는 종합병원 유치·조성 구상은 누가 봐도 이미 확정된 계획처럼 보였다. 시는 언론을 통해 ‘반환공여구역에 부족한 의료시설·대학을 유치해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막대한 조성비용 조달 문제도 곁들였다.

시가 진정 시민을 위한 행정을 펼치려한다면 시민단체와 주민들이 공청회를 막은 이유와 바람을 헤아려야 한다. 시가 의견조사를 통해 계획(안)을 내놓았다고 하지만, 설문문항의 의도성 논란이 발생한 의견조사와 인터넷을 통한 조사만으로 충분한 의견조사를 했다고는 할 수 없다. 96년부터 반환운동을 펼쳐온 시민단체들이 반환 결정 이후 이듬해부터 활용방안, 환경조사 등을 위한 민관합동기구를 설치할 것을 제안해왔지만 시는 이를 외면했다.

또 이번 종합병원 유치 계획으로 특혜 의혹과 함께, 시민의 소중한 땅을 팔아 나머지 부지를 조성하려 한다는 반발을 초래했다. 송도와 청라개발에 64조원을 쏟아 부으면서 57만 부평구민의 삶에 큰 변화와 희망을 가져다 줄 미군기지 개발에 2000억원을 투입할 수 없다는 것을 어느 주민이 이해하겠는가. 이런 마당에 또 한 번 일방통행이 될 수 있는, 더구나 법적 효력이 있는 공청회를 막은 것을 어찌 비민주적이라 할 수 있는가. 

다행히 시는 13일, 공청회 무산이 다시는 재발되지 않기를 기대하며, 향후 인천시민 다수가 공감할 수 있는 계획(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7년 동안 ‘우리 땅을 되찾자’ ‘시민공원을 조성하자’며 끈질긴 반환운동을 펼쳐왔다. 오직, 푸른 숲의 시민공원과 뻥 뚫린 도로를 꿈꿨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시민들이 땀 흘려 반환운동을 할 때 팔짱만 끼고 있던 인천시가 이제 와서 허튼 짓 한다’는 이야기가 다시 들리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