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준호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

 
인천경제자유구역 송도 6ㆍ8공구 개발과 관련해 지역사회가 시끄럽다. 그러나 진정 랜드마크 타워 건설 계획은 왜 수포로 돌아갔는지, 개발이익 환수와 관련한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개발 시행업자 간 대립과 분쟁은 왜 발생했는지, 인천시민은 그 정확한 정보로부터 배제돼있다.

시민 혈세로 개발한 땅이고, 시민이 그곳의 주인인데도 말이다. 그런데 시민이 모르는 개발프로젝트의 또 다른 사각지대가 있다. 바로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다. 애초, 인천경제청이 영종 개발에 관한 정보를 전면 제공하지 않은 면도 있지만, 지역사회의 의혹이 모두 송도로 쏠리면서 영종 개발 실태 따윈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 송도에 가려진 영종, 과연 그곳은 지금 어떻게 개발되고 있을까?

영종이 경제자유구역으로서가 아니라 부동산 개발을 위한 땅으로 악용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항이다. 외국인 투자는 좀처럼 유치되지 않을뿐더러, 당초 유치 목표였던 물류와 항공 관련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고 카지노 등과 같은 복합리조트 개발을 위한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즐비해있다.

공항과 물류 관련 기업들로 집적되는 경제자유구역은 물 건너갔음을 알 수 있다. 송도 개발에 가려 영종은 이미 베드타운으로 또, 노름꾼들이 모이는 도박장으로 전락하고 있다. 그런 영종 개발에서 ‘경제자유구역’ 그 자체의 목적이기도 한 ‘지역경제에 기여’는 찾아볼 수 있는 것일까?

영종에 입주한 외국인 투자업체들의 원자재 등 조달경로를 보면, 2014년까지 이들이 인천 지역에서 원자재 등을 사들이는 비율은 전체의 18.2%에 불과하다. 되레 국내 타 시ㆍ도(56.1%)와 해외(25.7%)에서 원자재 등을 조달하고 있다. ‘경제자유구역’이라 함은 특수한 산업들이 집적된 공간을 정책적으로 조성해 기존 지역경제에 파급효과를 기대하기 위한 것 아닌가.

물론 영종에는 외국인 투자업체도 많지 않고 그에 따라 전체 조달액도 적을 수밖에 없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천 안에서 조달되는 비율이 턱없이 낮아 지역경제에는 좀처럼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영종은 인천이며, 또 인천에 기여해야하는 곳이지 인천 밖의 다른 도시의 편이 아님에도 그렇다. 원자재 등의 74.9%를 해외에서 조달하고, 인천 안에서는 7%밖에 사주지 않는 송도국제도시보다는 나은 수치일 수 있으나, 투입된 행정력과 시민 혈세 규모를 고려하면, 영종경제자유구역의 지역경제에 기여도는 턱없이 낮다.

영종 외국인 투자기업의 종사자 구성을 보면, 전체 1045명 중 생산직 98명(9.4%), 사무직 236명(22.6%), 영업직 12명(1.1%), 단순종사자 699명(66.9%)으로 나타난다. 영종에 있는 사업체 총589개에 총2만 1754명이 근무하는 것에 비하면, ‘상전 대접’을 받고 있는 외국인 투자기업의 고용효과치고는 너무 저조하지 않은가.

게다가 외국인 투자기업에 고용된 사람들의 66.9%가 단순종사자다. 첨단산업 유치로 기술 이전이니 경영노하우 벤치마킹이니 하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송도에 가려진 ‘별 볼일 없는’ 영종으로 전락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 뿐만 아니라, 영종을 둘러치고 있는 저 두터운 장막도 이제 시민이 나서 걷어치워야 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