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전 이맘때였다. ‘내 오늘은 기필코 먹고야 말겠어!’ 전날부터 잔뜩 벼르고 있었다. 남편이 출근하자마자, 쏜살같이 주방으로 향했다. 멸치ㆍ다시마 육수를 내고 집된장을 풀었다. 다진 마늘도 조금 넣었다. 냉장고엔 어제 생협에서 배달해온 쑥 한 봉지가 있었다. 쑥을 씻어 생콩가루 한 수저를 설설 뿌렸다. 보글보글 끓는 된장육수에 콩가루 묻힌 쑥을 살포시 얹었다. 파랗던 쑥이 폭 익어 짙게 변했다. 밥을 푸는 손길이 벌써부터 급하다. 오랜만에 군침이 돌았다.

쑥국 한 그릇에 이렇게 유난을 떠는 이유가 있었다. 사실 열흘 째 내리 사골미역국만 먹은 터였다. 4월이 되고 얼마 되지 않아 나는 첫 아이를 유산했다. 뱃속에 생명이 자라고 있다는 낯선 설렘에 한창 적응해가던 12주차, 검진을 위해 병원에 갔다가 의사에게 “뱃속에 아기가 보이지 않는다”는 말을 들었다. 심장이 ‘쿵’ 내려앉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다. 입덧은 여전히 나를 괴롭히고 있는데, 아기가 없다니. 병원을 나와서도 도무지 실감이 나지 않았다.

▲ 심혜진 그림.
병원에선 수술을 권했지만 나는 그러고 싶지 않았다. 내 몸을 믿어보고 싶었다. 입덧은 서서히 가라앉았다. 2주 후, 숨도 못 쉬게 배와 머리가 아프더니 주먹만 한 핏덩이가 쏟아져 나왔다. 태반과 아기집이었다. 배와 머리의 통증도 거짓말처럼 사라졌다. 임신과 유산을 모두 겪어낸 내 몸이 자랑스럽고 기특했다. 그래서 슬펐고, 그래서 괜찮았다.

주위사람들이 저마다 “유산도 출산과 똑같다”며 ‘찬물에 손 담그지 마라, 찬바람 쐬지 마라, 무거운 것 들지 마라’ 등 잔소리가 끝이 없었다. 나는 최대한 지키려고 했다. 삼칠일 동안 미역국을 먹어야 한다는 말도 웬만하면 따르고 싶었다. 그런데 쑥이 내 노력을 망쳐 놓았다. 티브이(TV)에서 4월에 쑥이 제철이라며 쑥밥부터 쑥국ㆍ쑥전ㆍ쑥버무리ㆍ쑥떡까지, 쑥으로 한 상 가득 차린 밥상을 보고 말았으니, 하도 끓여 흐물흐물해진 미역국을 어떻게 먹을 수 있겠느냔 말이다.

떨리는 마음으로 티브이 앞에 작은 상을 펼쳤다. 이제 막 한 숟가락 떠먹으려는 순간, 티브이 화면에 큰 배가 나왔다. 뭐지. 잠시 후 ‘전원구조’라는 자막이 떴다. 아, 다행이다. 그런데 뭔가 이상하다. 같은 장면이 반복해서 나온다. 현장에 분명히 취재진이 있는 것 같은데 왜 다른 장면은 안 나올까. 불안감을 누르려 티브이를 껐다. 일단 밥을 먹자.

쑥국은 향긋했다. 그래, 4월 쑥은 보약이라지. 씹지도 않은 밥알이 목구멍으로 꿀꺽꿀꺽 넘어갔다. 쑥국 한 대접과 밥 한 공기가 순식간에 사라졌다. 배를 두드리며 누워서 좀 쉬려는데 다시 큰 배가 생각났다. 티브이를 켰다. 구조된 인원수가 아까와 다르다. 전원구조가 아닐 수도 있단다. 배 안에, 아직 사람이 있단다. 이건 또 무슨 소리지? 심장이 뛰기 시작했다.

2014년 4월 16일. 그날은 내게 그런 날이다.

나는 그날을 잊을 수가 없다. 쑥국을 먹겠다고 잔뜩 마음 설레던 그날 그 아침 그 시간. 그 배 안에는 사람들이 있었다. 내 시간과 그들의 시간이 그토록 달랐다는 것에 나는 한참동안 죄책감을 느끼며 꺽꺽 울었다. 그때부터다. 어디서든 울컥울컥 눈물이 차오르기 시작한 것은. 아마 내가 살아있는 한, 그 아침을 잊을 수 없을 것이다.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