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인구 300만명 돌파를 기해 지난 18일 ‘문화성시 인천’이라는 비전을 중심으로 ‘문화주권을 실현’하겠다고 선포했다. 이를 위한 3대 추진 과제로 인천 가치 재창조로 문화주권 실현, 세계적 수준의 문화 공간 조성 등, 문화 인프라 구축, 시민의 문화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생활문화 활성화를 설정했다.

여기다 아트플랫폼을 개항장문화플랫폼으로 확대하고, 시립미술관과 인천뮤지엄파크을 건립하는 등, 사업 19개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주요 사업의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현재 전체 예산의 1.9%밖에 안 되는 문화예산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0년에는 3%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했다.

인천의 문화실태가 열악하고, 문화예산이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전국 하위 수준이고, 인천시민이 인천이 아닌 서울과 경기도에서 소비하는 문화 역외소비율이 52.8%나 되는 현실에서 이젠 벗어나겠다고 하니, 일단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지속가능한 발전’이 보장되는 문화도시를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예술콘텐츠를 생산하는 문화예술인과 단체들의 활동 보장이 전제돼야한다. 시의 비전과 계획에 그런 관점이 녹아 있는지 궁금하다. 예술인(단체)들의 활동을 보장하기 위해선 그들이 생산하는 콘텐츠가 안정적으로, 그리고 활발하게 공급되고 소비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현재 콘텐츠의 생산과 공급, 소비가 누구에 의해 어떻게 이뤄지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봐야한다.

시립ㆍ구립예술단과 관공서 등, 공공단체(기관)가 주관한 공연행사의 비율이 2013년 13.3%에서 2015년 33.6%로 늘었다. 그만큼 상대적으로 민간 분야의 활동이 줄었다는 것이다.

많은 문화예술콘텐츠가 유통되는 지역축제는 어떤가? 지난해 인천에서 벌어진 축제는 공식 집계된 것만 194개다. 이중 관공서에서 준비한 축제가 절반을 차지했다. 그 상당수 축제를 주로 상업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기획이벤트사에 맡기다보니 지역 문화예술단체들의 참여와 콘텐츠 유통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비판이 지속된다.

이러한 구조를 바꾸지 않는 한, 예산을 아무리 쏟아 붓고 문화공간을 늘린들 건강한 문화생태계를 만들 수는 없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문화예술정책의 첫 번째는 문화예술 분야의 창조계급이 유입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라고 한다. 인천의 문화예술인(단체)들이 활동을 그만두지 않고, 인천을 떠나지 않고, 오히려 젊은 문화예술인(단체)들이 인천에 모여들게 하려면 낡은 구조를 바꿔야한다. 자유롭게 창조활동을 하는 예술인(단체)들이 시민들과 소통하며 문화예술의 향유 수준을 높이는 일을 적극 지원해야한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