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스크린도어 보수작업을 하던 외주업체 직원이 숨졌다. 그의 나이는 19세였다. 구의역에 추모물결이 이어졌고, 작업일지 조작과 잘못된 정비용역 계약에서 비롯된 예견된 사고였다는 비판이 잇따랐다.

서울메트로는 지난해 강남역에서 용역 직원이 점검 중 숨지자, 스크린도어 점검 시에는 2인1조 작업을 의무화하게 했다. 그러나 이는 허울뿐인 대책이었다. 심지어 서울메트로가 용역업체에 근무일지 조작을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비업체와 용역계약을 맺을 땐 계약사항에 사고 발생 시 책임은 ‘을’인 용역업체가 지는 것으로 했다. ‘사고 날 줄 알고 이렇게 작성한 것 아니냐’는 추궁이 뒤따랐다.

지난 1일 밤, 경인국철 1호선 백운역에선 동인천역행 급행열차가 선로에 있던 70대 노인을 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이 노인이 자살한 것으로 추정했다. 플랫폼에 설치된 폐쇄회로텔레비전 녹화영상에서 노인이 스스로 선로로 내려가는 장면이 확인됐기 때문이다. 노인이 실제 자살했을 수도 있지만, 플랫폼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돼있었다면, 역무원이나 안전요원이 현장에 있었더라면, 하는 안타까움을 떨치기 어렵다.

백운역에선 지난해 1월 20일에도 플랫폼으로 들어오는 열차에 30대 남성이 투신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인국철 1호선 인천구간엔 역이 10개 있는데, 백운역을 비롯해 6개 역엔 승객의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설치돼있지 않다. 2008년 7월 제물포역에서 시각장애인이 선로에 추락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해, 장애인단체들이 모든 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를 요구한 지 8년이 지났는데도 말이다. 시민의 안전과 생명보다 설치비용, 즉 ‘돈’을 더 중시하는 풍조가 나은 결과이지 않나, 씁쓸하다.

오는 7월 30일 개통 예정인 인천도시철도 2호선을 대하는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의 태도 또한 이러한 풍조에 물들어있는 것 같다. 교통공사는 무인역사 운영계획을 세웠고, 운영인력 정원은 413명이나 최소인력 368명으로 운행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문제가 생기면 나머지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물론 운영인력을 충원하는 만큼 비용이 더 들어가고, 적자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정원 413명은 연구용역을 수행해 나온 적정인력이라 할 수 있다.

사고가 나면 나머지 인력을 채용하겠다는 말보다는 인력 충원으로 추가되는 재원을 어떻게 확보할지, 시민사회와 머리를 맞대고 길을 찾아야한다. ‘돈’보다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중시하면 가능한 일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