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는 전체 학생 수가 매해 20만명씩 감소하는 반면, 다문화 학생 수는 매해 6000명 이상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고 한다. 다인종ㆍ다문화사회로 급격하게 변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천을 보면, 초ㆍ중ㆍ고등학교에 다니는 다문화가정의 자녀수는 지난해 4월 기준 366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보다 564명이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학생 수는 9261명 줄었다. 다문화 학생 수가 전체 학생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 정도다. 이 비율은 고등학교보다는 중학교, 중학교보다는 초등학교에서 높다. 요즘, 초등학교 한 학급에 다문화 학생 한두 명은 기본이다.

다문화 학생들은 언어문제, 가정환경, 인종과 문화적 차이 등으로 인해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이로 인해 취학률이 낮다. 나아가 중도에 학업을 중단하는 비율도 일반학생에 비해 높은 편이다. 특히 외국에서 태어나 자라다 부모를 따라 입국한 중도 입국 다문화 학생은 한국어가 서툴러 더욱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인천에서 한국어가 서툰 다문화 학생 수는 지난해 기준 663명으로, 1년 사이에 69명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다문화 학생 개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다. 그렇기에 이들의 교육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게 필요하다.

정부에서도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다문화 학생 교육 지원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한국어와 문화 적응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다문화 예비학교’와 학업 성취수준 등을 고려해 맞춤형 지도를 추진하는 ‘다문화 중점학교’를 늘려나가는 게 대표적이다. 현재 인천에선 예비학교 4곳과 중점학교 6곳을 운영한다.

공립 다문화 대안학교인 ‘한누리학교’도 있고, 주말에 한국어 강의를 진행하는 ‘다문화 교육 중심학교’들도 있어, 다른 지역보다 여건이 좋은 편이라 한다. 하지만, 인천 전역의 학교에 흩어져 있는 다문화 학생들이 집중 지원을 받기는 어렵다. 결국 아직은 각 학교의 몫이 크다.

이에 이들을 지도하는 교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또한 보다 전문성 있는 교사의 다문화 교육 전입을 늘리기 위해 근무여건 개선이나 연구 지원 등의 인센티브 제공도 필요하다. 특히 다문화 교육정책은 구분과 분리 정책이 아니라 인권ㆍ복지정책 안에서 서로 지지하고 협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한다. 그 방향에서 다문화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생애사적 특성을 반영해 개인의 수요와 요구에 집중하는 교육을 해야 한다.

결국 교육부와 교육청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