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학교 학생들이 지난 8일 인천시에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궐기대회를 열었다. 교수ㆍ학생ㆍ직원들로 구성된 대학발전협의회가 지난달 18일 ‘협약 이행’을 촉구한 데 이은 집단행동이다.

시는 지난해 1월 시립인천대가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천대와 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은 인천대를 지역거점대학으로 육성하겠다는 시의 의지로 지역사회에 비춰졌다. 주요 협약 내용은 ‘송도 캠퍼스 증축 사업비를 시 산하 인천도시공사가 현물과 현금으로 지급한다’는 것이었다. 즉, 도시공사가 강의동 등 건물을 지어주고, 그 건물의 감정평가액을 제외한 잔여금액을 현금으로 지급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도시공사는 증축공사 자금이 부족해 약속대로 이행할 수 없고, 자금 지급을 2017년까지로 연장하겠다는 의사를 지난 8월 인천대에 전달했다. 인천대가 그만큼의 자금을 융자할 경우 그 원금과 이자를 지원하겠다고 했다지만, 약속을 지키지 않은 건 엄연한 사실이고, 시 산하 기관으로서 월권행위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유정복 시장은 모르쇠로 일관하는 모습이다.

이대로라면 인천대의 내년 5월 강의동 준공은 불가능하다. 인천대는 현재 공간 부족으로 애를 먹고 있다. 강의실이 부족해 학생들은 마치 메뚜기 떼처럼 이곳저곳을 떠돌고 있다. 실험실도 부족하고 학생자치공간도 없다.

시는 이 문제 이외에도 대학발전기금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 인천대 발전기금 관련 조례를 폐지하겠다고 입법예고한 것이다. 이 조례가 폐지되면 기금 104억원은 다른 용도로 쓰인다. 시는 이 기금을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한 인천대에 줄 수 있는 근거가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 하지만 기금 조성 연혁을 고려하는 게 필요하다. 이 기금은 1994년 시립인천대학 출범 이후 캠퍼스 내 매점과 식당, 카페 등의 운영수익과 임대료 수입 등을 적립한 것이다.

시는 지난해 인천대에 지급해야할 돈 171억원 중 72억원만 지급했다. 올해 지급해야할 103억원도 지급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대 발전기금마저, ‘그건 시립대학 때의 이야기’라고 하는 것을 인천대 구성원들이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겠는가. 구성원이 아닌 지역사회에서도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다.

시는 인천대의 국립대학법인 전환에 적극적이었다. 시립대학 운영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작년 1월 지원 협약은 20년 가까이 인천대를 운영한 시가 해야 할 최소한의 도리라 할 수 있다. 그 협약을 이행하지 않고 미루는 건, 시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하기에 충분하다. 유정복 시장의 입장 표명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