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의 대서특필이다. 6월 21일 인천지역 거의 모든 언론이 ‘지난해에 이어 인천지역의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이 전국 16개 시ㆍ도교육청 가운데 최하위’라고 보도했다.

그러나 자세한 내막을 보면, 인천지역 교육의 특수성도 있고, 교육청의 항변대로 그럴 수밖에 없는 요인도 있다. 가령 일선 학교에선 정시보다 수시를 준비하는 비율이 높아 상당수가 수시전형으로 대학에 진학한다. 이 비율이 70%가량 된다. 현재 정시는 재수생과 특수목적고의 강세 현상이 뚜렷하다. 여기에 인천은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중학교 성적 최하위 학생들이 일반계고교에 진학하는 구조적 약점을 드러내고 있다. 일반계고교의 요즘 고민이다.

문제는 이런 보도에 이은 학교 현장의 후폭풍이다. 최근 몇 년간 수능 꼴지나 최하위라는 보도 이후 학교는 매우 어려워졌다. 수능 꼴지 프레임을 벗어나고자 시교육청이 경영방식을 강조하며 학교를 몰아붙였기 때문이다. 마치 교육청은 본사, 학교는 대리점 같았다.

교육청은 우선 학교에 학력향상부를 만들게 하고, 단위학교에 학력향상 예산 수천만원을 내려 보냈다. 학교평가지표에 입시 결과를 넣었고, 맞춤형 컨설팅이라는 이름으로 장학사가 학교를 개별 방문해 모의고사 1~3 등급 학생들이 집중 관리되는 그룹과외 형태의 튜터링제도를 실시하게 했다.

또 기초학력 컨설팅이라는 이름으로 다른 학교의 학력향상 방안을 본뜨도록 노골적으로 요구하면서 기초학력 부진 학교 이름마저 모두 공개했다.

심각한 건 이 경쟁을 고교에 그치지 않고 초교와 중학교로 내려 보냈다는 것이다. 지역교육청이 일제고사와 시ㆍ도교육청 평가, 학교 평가를 도구로 초교와 중학교 방과후학교와 학력 향상을 강요했다.

그러나 현재 다양화된 대학입학 전형을 고려해보면, 수능 시험은 여러 개의 진학 수단 중 하나일 뿐이다. 수시 전형, 입학사정관 전형 등 다양한 진로진학시스템을 활용해 대학 진학을 유의미하게 해내는 것 역시 ‘학력 향상’의 일환이다. 그런 점에서 교육청이 수시전형에서 성과를 올린 것은 칭찬받아야할 일이다. 더불어 일선 교사들의 노고도 치하해야 마땅하다.

그렇다면, 교육청이 오로지 수능 결과만이 곧 ‘학력의 모든 것’처럼 규정해 여론을 몰아가는 교육부와 언론에 더 이상 끌려 다니지는 말아야한다. 수능점수 공개로 해마다 수능 성적의 계층 고착화만을 확인하고, 대책은 내놓지 않는 교육부의 무책임함을 탓할 일이다.

다만 교육청은 일선 학교를 컨설팅이라는 이름으로 더 이상 힘들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성과주의에 집착할수록 그 결과에 대한 혹독한 비판도 감수해야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언론과 교육청은 과도한 결과주의에 집착해 학교가 교육의 본질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지난해 조사 결과를 보면, 인천의 청소년 자살률은 충북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였고, 매해 3500명 이상의 인천 학생이 학교 부적응 등으로 학교를 그만 뒀다. 최근 조사 결과를 보면, 중도탈락자들의 자살률은 재학생보다 145배 높았다고 한다.

입시 위주의 경쟁교육이 공동체 중심의 혁신교육으로 전환되는 것은 이제 시대적 흐름이다. 지금 정부도 ‘꿈과 끼를 살리는 교육’을 모토로 내걸었다. 그렇다면 인천 교육이 언제까지 경쟁만능에 사로잡혀 있을 것인가. 시교육청이 교육 정책 기조 변화와 발상의 대전환을 이룰 때이다.

/이강훈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인천지부 정책실장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