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인천에서도 마을만들기가 화두가 되고 있다.

삼각산 마을만들기나 성미산 마을만들기 등 타지의 사례가 회자되기도 한다. 서울시와 수원시처럼 마을만들기의 중간조직인 미을만들기지원센터를 두고 행정이 마을만들기를 적극 지원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도 있다.

마을만들기 유형은 그 마을과 마을 주민들, 그 마을을 둘러싼 주변지역의 특성에 따라 참으로 다양하다. 절대 일률적이지 않다. 하지만 다양성 속에서도 공통적으로 관통하는 게 있다. 마을만들기에 해당 주민들이 주체로 참여하는 것, 이를 통해 주민 스스로 자신들의 삶의 터전과 환경을 가꾸고 그 과정에서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게 궁극적인 목적이라는 것이다.

도시의 주거형태와 생활환경이 급변한 상황에서 이 목적은 더욱 강조된다. 상대적으로 낙후해 재정비가 필요한 원도심에서만 마을만들기가 필요하다면, 신도시에선 이미 공동체가 활성화됐다고 보는 오류에 빠진다. 그래서 마을만들기는 원도심이나 신도심 구별 없이 적용된다. 기제나 방법, 경로만 다를 뿐이다.

인천 또한 마을만들기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한다. 물론 원도심 재정비를 염두에 둔 계획이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전임 시장 시절 무분별하게 지정한 정비(예정)구역을 해제해 새로운 방향 즉, 무조건적인 재개발이 아닌 지역의 특성을 살린 재정비로 전환하겠다는 것은 옳다. 하지만, 그 과정은 주민이 이끌어야한다. 행정이 방향을 정하고 계획을 수립한 뒤 주민들에게 따라오라고 하는 게 아니라, 주민이 주체가 돼 주도할 수 있게 돕는 것에 자기역할을 둬야한다.

하지만 이는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 행정이 곧 지방자치단체장이 권력, 즉 도시계획 수립권과 예산 편성권을 주민들과 나눠야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마을만들기는 주민참여예산제와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마을만들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재정이 필요하다. 물리적 개선을 위한 비용뿐 아니라 주민들의 의식개선을 위한 교육이나 공동체성을 강화할 축제 등 문화행사를 위해서도 재정이 필요하다. 그 예산 편성권을 주민들에게 일부 나눠준 것이 주민참여예산제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주민의 자치 권력을 키우는 것이다.

이 점에서 제도 권력, 즉 자방자치단체장의 권력과 상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자본권력과도 상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목상권을 지키는 게 지역공동체성 강화와 연계되는데, 이는 유통재벌 즉 시장권력과 대립하게 된다. 이렇듯 마을만들기는 상당한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점에서 행정과 주민을 이을 중간조직이 필요할 수 있다. 공익활동가(=시민사회단체 상근활동가)나 문화예술인 등 이른바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마을만들기지원센터 같은 곳을 중간조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마을만들기지원센터는 마을만들기가 주민들의 공동체성과 민주주의 근력을 키우는 과정이 될 수 있게 연구하고 지원하는 것을 주요역할로 삼아야할 것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