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김재인 경희대 학술연구교수, 새얼아침대화 강의
“확장된 인문학 학습하면 AI 제대로 활용 할 수 있어”

인천투데이=이재희 기자│“챗 GP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성 AI(인공지능)가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허점이 많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건 확장된 인문학이다.”

김재인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는 이달 13일 쉐라톤그랜드인천호텔에서 열린 제435회 새얼아침대화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재인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사진제공 새얼문화재단)
김재인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사진제공 새얼문화재단)

김 교수는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과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프로그램 연구원을 역임했고, 서울대·경희대·한국예술종합학교·서울여대·한국외대·홍익대 등에서 강의했다.

주요 저서로 ‘AI 빅뱅, ’뉴노멀의 철학‘, ’생각의 싸움‘,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혁명의 거리에서 들뢰즈를 읽자‘ 등이 있다.

이날 김 교수는 "챗GPT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생성 인공지능이 나오고 있으며 그 발전 속도는 따라잡기 힘들 정도로 빠른 수준이다"라며 "이를 제대로 다루기 위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생성 인공지능은 사람이 제시한 명령어에 맞춰 그림이나 사진을 만들고, 단어를 조합해 새로운 문장을 만들기도 한다”며 “언어나 그림, 소리, 코드 등을 서로 짝짓고 스스로 학습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하지만 생성 인공지능의 한계도 분명 존재한다”며 “부정확한 지식이 항상 있을 수 밖에 없고, 생성물을 검증하는 인간의 시간이 항상 투입된다. 이럴 바엔 차라리 처음부터 작업을 인간이 직접 하는 편이 낫다는 효율성의 문제가 제기된다”고 설명했다.

또한 “생성 인공지능은 진실과 거짓을 구별하지 못한다”며 “문장을 만드는 데 특화돼 있지만 문장의 진위를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생성 인공지능이 생성한 문장은 항상 과하거나 부족하다”고 부연했다.

김 교수는 이런 생성 인공지능의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확장된 인문학을 언급했다.

‘확장된 인문학’이란 문학, 역사, 철학 등 언어에 갇혀있던 기존의 인문학을 수학과 자연과학, 사회과학, 예술, 디지털 등으로 확장하는 새로운 개념이다.

김 교수는 "좋은 결과물을 얻고 싶다면 해당 분야에 대해 더 깊고 다양하게 공부해야 한다“며 ”정확한 명령어를 생성 인공지능에 입력해야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도와주는 것이 바로 기존의 언어학 중심의 인문학 관점에서 벗어난 ‘확장된 인문학’이다“라며 ”최근 세계적으로 과학기술과 디지털, 예술 등을 표현하는 새로운 언어들이 등장하고 있고 이를 학습하는 것이 확장된 인문학으로 나아가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쉽게 말해 문과나 이과의 구분 없이 사람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모두 공부해야한다는 것이다”라며 “이렇게 되면 필요할 때마다 활용해 인공지능을 뜻대로 조종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끝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는 인공지능 시대에 적응하기 위해 ‘확장된 인문학’을 더 많이 공부해야 한다”며 “향후 생성 인공지능을 그저 이용하려는 것과 배워서 활용하려는 차이는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