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8년 건립, 한국전쟁 이후 시대상 반영한 건축양식 사찰
전쟁 직후 시민 시주로 건립, 전쟁고아 등 보육사업 등 전개

인천투데이=김갑봉 기자 | 인천 미추홀구 수봉산 자락에 위치한 ‘부용암 응진전’이 인천광역시 등록문화재가 됐다. 시는 21일 ‘부용암 응진전’을 인천시 등록문화재로 등록 고시했다고 밝혔다

미추홀구 수봉산 자락에 있는 부용암은 재단법인 선학원이 소유하고 있는 비구니 사찰이다. 한국전쟁 때 피난민들을 위한 쉼터로 사찰을 제공했으며, 당시 많은 전쟁고아를 수용하고 돌본 것으로 전해진다.

인천 내 사찰의 전각이 국가 보물로 지정된 사례는 강화 정수사 법당(1963.1.21.지정), 강화 전등사 대웅전(1963.1.21.)과 약사전(1963.1.21..) 등이다. 인천시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사례는 이번 ‘부용암 응진전’이 최초다.

부용암 응진전 정면
부용암 응진전 정면
부용암 응진전 대각 측면
부용암 응진전 대각 측면
부용암 응진전 처마
부용암 응진전 처마

부용암 응진전은 한국전쟁 직후인 1958년에 건립된 건축물로 전통 건축양식에서 가장 선호하는 평면 형식(정면 3칸, 측면 3칸)보다 협소한 측면 2칸 규모로 지어졌다.

건물의 공포형식 역시 전통적인 초익공 다포방식으로 배치됐다. 지붕 서까래의 구성 역시 전면은 겹처마로 구성하고 후면은 홑처마로 구성하는 등 전통 시대의 건축구법과 다소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와 변형은 19세기 말부터 이미 발생하기 시작한 경향이다. 점점 심해지는 재료(목재)의 공급부족 속에서 이전보다 더욱 화려한 의장이 강조되는 사회상에 의한 것으로 시대성을 보여주고 있다.

인천시 문화재위원회는 ‘부용암 응진전’이 건축양식과 규모, 예술적 가치 측면에서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으나, 한국전쟁 이후에도 과거 전통 시대의 건축법과 의장성을 계승하려 했던 흔적이 보이며, 당시 인천의 어려운 시대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측면에서 문화재적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다.

부용암 응진전 측면
부용암 응진전 측면
부용암 응진전 내 산신도와 독성도
부용암 응진전 내 산신도와 독성도
부용암 응진전 약사여래상과 16나한상
부용암 응진전 약사여래상과 16나한상

부용암 주지 선덕스님은 “부용암은 한국전쟁 이후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인천시민 128명이 시주해 건립했고, 전쟁 직후 고아 보육사업을 전개하며 지역사회 자선사업에 공헌하는 등 인천지역의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동우 인천시 문화유산과장은 “부용암 응진전은 한국전쟁 직후 부족한 물자와 경제적 여건 속에서 건립된 전통사찰로 당시의 시대성과 생활상을 반영하고 있는 점에서 건축사적 가치를 높게 인정받아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며 “앞으로도 근대문화유산을 꾸준히 발굴·등록하는 적극행정을 추진하여 문화유산의 가치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