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인천시 준공업지역 토지이용 실태와 관리 방안’
제물포 르네상스, 경인선 지하화 사업과 연계해 관리 가능

인천투데이=이서인 기자┃인천시가 준공업지역을 유형별로 관리·정비해 복합용도구역으로 조성해야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인천시 준공업지역 토지이용 실태와 관리 방안’ 연구보고서를 9일 발표했다.

준공업지역은 경공업과 환경오염이 적은 공장을 수용하는 지역으로, 주거·상업·업무시설을 조성할 수 있다.

2021년 4월 기준 인천의 준공업지역은 28㎢로, 경공업 공업지역뿐 아니라 항만, 항만 배후단지, 산업단지 지원토지, 기반시설과 공공시설 토지 등 다양한 형태로 지정돼있다.

그래서 시가 준공업지역을 유형별로 잘 관리하면 복합용도구역으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반면, 관리를 잘 못하면 혼재구역으로 남는다.

공업지역 전경 (사진제공 인천시)
공업지역 전경 (사진제공 인천시)

인천연구원은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는 준공업지역을 ▲단독 산업단지 ▲일반공업지역 인접지 ▲첨단산업단지 ▲항만 배후단지 ▲산업단지 지원토지 ▲항만 ▲공공시설 ▲도로 등으로 구분했다.

자료를 보면, 인천연구원은 물리적으로 노후한 단독 산업단지와 내항·남항 배후단지, 공업 외 주거 등 다른 용도와 혼재한 일반 공업지역 인접 토지를 정비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시가 준공업지역을 관리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 정비와 용도, 기능 구분 ▲전체 공간 구조 개편 전략을 고려해 공업지역 해제와 지정 필요 ▲주거와 공업 혼재구역 내 용도 재배치 등을 제안했다.

특히, 시가 추진하고 있는 제물포 르네상스와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지하화 사업, 경인선 지하화 사업이 주요 준공업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이 사업과 연계해 관리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안내영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준공업지역은 공업기능뿐 아니라 다른 용도도 수용하는 점에서 점이지대 성격을 가진다”며 “이를 관리하지 않으면 여러 용도가 혼합된 혼재구역일 뿐이다. 그러나 잘 관리하면 다기능을 수행하는 복합용도구역이 가능한 지역으로 시가 세심하게 관리해야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