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속협, 시 한강하구 생태·환경 방향 제안 토론회 개최
강화군 남단 소재 동검도 갯벌복원 사업 모니터링 결과 공유
한강하구 민관협의체 활동 공개, 시민사회 역할 제안하기도

인천투데이=박규호 기자│한강하구 갯벌과 생태·환경을 모니터링하고 분석해 보전하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인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생태환경분과는 6일 인천지속협 상상연구소에서 ‘인천시 한강하구 생태·환경 보전과 관리 방향제안 토론회’를 개최했다. 토론회 좌장은 김형수 인하대 사회인프라공학과 교수가 맡았다.

이무준 안양대 해양바이오공학과 교수가 한강하구 갯벌복원과 지속가능 이용을 위한 관리를 발제했고, 장정구 생태공간연구소 공동대표가 한강하구 민관협의체활동과 시민사회단체의 역할을 발제했다.

토론은 한동욱 (사)에코코리아PGA 연구소 소장, 김성우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백명수 시민환경연구소 소장, 임철순 시 수질환경과 주무관이 참여했다.

이무준 안영대 교수가 6일 동검도 갯벌생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를 공유하고 있다. 

발제 1 한강하구 갯벌 복원과 지속가능 이용을 위한 관리

이무준 안양대 교수는 인천시 강화군 동검도 갯벌생태복원사업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갯벌복원사업은 블루카본(탄소를 흡수하는 바닷가 생물)이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자원으로 부각하면서 간척과 매립 등으로 훼손되고 상실된 갯벌을 자연상태로 돌려놓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동검도 갯벌생태복원사업은 1985년 연륙교(방조제로 섬과 섬을 연결하는 다리) 건설로 강화도와 동검도 사이 해수 이동과 갯고랑(갯벌 사이의 고랑)이 단절됐던 것을 갯벌복원을 위해 방조제를 제거하고 교량을 설치해 해수 흐름을 원활히 하고 갯고랑을 다시 복원하는 사업이다.

이 교수는 동검도 갯벌복원 사업 모니터링 결과, 원활한 해수 이동으로 다리 북동쪽과 남서쪽 갯벌이 특성이 유사해지고 있어 동검도 갯벌이 회복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이어 다리 북동쪽과 남쪽을 연결하는 자연스러운 갯고랑이 형성됐고, 다리를 중심으로 나뉘어 존재하던 갯고랑의 깊이가 깊어지고 폭이 넓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동검도 주변 갯벌에서 침식이 진행돼 갯고랑 복원이 잘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복원사업 효과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을 지속하고, 모니터링 분석을 장기간에 걸쳐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정구 생태공간연구소 공동대표가 6일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 협의회 활동 보고와 시민사회 역할을 발표하고 있다.

발제 2 한강하구 민관협의회 활동과 시민사회 역할

장정구 생태공간연구소 공동대표는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 협의회의 활동을 보고하며, 시민사회단체의 역할을 발표했다.

장 대표는 한강 하구의 경우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고, 자연경관이 우수하며, 남북접경지역으로 평화협력의 가능성이 있는 곳이라고 한강하구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장 대표는 한강 하구 관리의 문제점으로 ▲한강하구 관리주체 불명확 문제 ▲비닐쓰레기 문제 ▲미세 플라스틱 문제 ▲하수종말 처리장 문제 ▲지뢰 제거 문제를 꼽았다.

이어 관리주체 불명확으로 인해 방치되는 한강하구 관리 문제를 한강하구 생태·환경 통합관리 협의회 활동으로 해결하려고 했으나, ‘한강하구 관리에 관한 특별법(안)’이 환경부와 해양수산부의 이해관계 대립으로 완성하지 못하는 등 협의회 활동한계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강하구 생태·환경 보전을 위한 시민사회 활동으로 ▲7.27(정전협정) 한강하구 평화의 배 띄우기 ▲평화 컨퍼런스 ▲강화 빅버드레이스(한강 하구 새 찾기 대회) ▲갯끈풀(침략 외래종)제거 활동 ▲쓰레기 수거 캠페인 등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장 대표는 “생태·환경 모니터링과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지속하고 공유해야 한다”며 “시민사회단체가 거버넌스기구에 적극 참여하고 정부 부처, 국회와 소통하면서 행정·정치권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강하구 생태환경 보전과 관리 방향 제안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한동욱 소장이 “한강하구는 해역과 하천, 접경을 공유하는 복잡한 구역이다”라며 “국제적 협력으로 한강하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강하구를 북한과 공동협의해 공동 람사르습지로 지정하거나 한강하구 갯벌의 세계유산으로 지정하는 것도 한강하구 생태·환경 보전 전략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성우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강하구 갯벌복원 결과를 드론이나 영상으로 시민에게 공개함으로써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며 “모니터링 효과를 정리하고 향후에도 지속 진행해 시민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명수 시민환경연구소 소장은 “한강하구 통합관리가 필요하지만 환경부와 해수부는 절대로 이해관계를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통합관리 고민과 방향을 시민사회단체가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