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이 자원봉사를 하면 그 시간만큼 점수를 주는 청소년 자원봉사제도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해가 1996년이니, 벌써 16년째다. 이 제도는 청소년들이 자원봉사를 통해 인격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이 제도에 따라 현 중ㆍ고등학생들은 자원봉사를 연간 20시간 수행해야 한다. 단, 의무는 아니다. 이 제도가 당초 도입 취지를 살리지 못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의무는 아니지만, 중학생은 내신 점수에, 고등학생은 대입 수시에 자원봉사 시간을 반영하는 학교들이 있다. 이런 학교의 학생들은 20시간을 채우려고 애를 쓴다. 그렇다보니 형식적인 ‘점수 따기’식 봉사활동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공부할 시간도 모자란데 봉사 일감도 잘 찾을 수 없는 형편에 시간을 허비해야 되겠는가, 하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그러면 이 제도를 폐지하면 되는 일인가? 청소년 때 자원봉사를 하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처음에는 별 생각 없이 자원봉사를 시작했다가 그 안에서 점점 의미를 찾아가는 사례도 얼마든지 있다. 교육적 효과가 많다는 것을 부정하는 이는 없다. 이 제도를 통해 단 한두 명의 학생이라도 자원봉사에 관심을 가지고 살아간다면 의미가 있기에, 필요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제도는 보편적이어야 한다. 교육 관련 제도는 더욱 그러하다. 때문에 제도를 개선하는 게 필요하다.

학부모들의 시각 전환도 필요하다. 봉사할 시간에 공부하라며 학부모가 대신 봉사 점수를 받으러 다니는 경우를 두고 하는 말이다.

물론 학부모의 심정을 헤아리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는 모순을 고치려하기 보다는 자녀의 봉사활동 접촉 기회를 빼앗는 반교육적 행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학부모들이 시각을 전환하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문제 해결이 쉽지 않다. 청소년 자원봉사점수제도가 논란이 되는 것은 입시위주로 편중된 기형적 교육시스템 때문이다. 결국 교육당국에 책임이 있다는 것이며, 교육당국이 그 의무를 방기한 것이다.

자원봉사점수가 입시의 구성요소가 안 되도록 학교가 제대로 교육을 하고, 기관에서는 청소년들이 와서 실질적인 봉사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춰야한다. 이렇게 하려면 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해야한다. 동시에 입시위주의 현 교육정책을 전반적으로 개혁해야한다.

계속되는 아이들의 자살과 사회문제로 급부상한 학교폭력으로 청소년 인성교육의 중요성은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청소년들이 자원봉사에 참여함으로써 인격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애초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교육당국이 제도 개선에 적극 나서야할 때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