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회 인천마당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 강연
"OBS 지역방송 역할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 고민해야"

인천투데이=박소영 기자│수도권 서부에 해당하는 인천은 정부 정책 등으로부터 각종 홀대를 받는다.

대표적인 게 수도권 2300만명이 사용하는 수도권쓰레기매립지와 영흥석탄발전소를 비롯한 각종 화력발전소, 석탄부두, LNG인수기지 등이다.

이같은 위험 기피 시설은 민원을 유발하는 시설로 인천에 집중돼 있는데, 정작 인천은 피해만 볼뿐 이에 따른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런 홀대가 인천의 목소리가 크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이는 인천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해 줄 수 있는 지역 언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평가로 이어진다. 약 300만명에 이르는 인천시민의 방송 시청 주권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사단법인 인천사람과문화(이사장 신현수)는 지난 28일 제84회 인천마당 '인천, 방송주권 VS 시청주권?‘ 강연을 진행했다.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이 강연했다.<기자 말>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
이광호 인천평화복지연대 사무처장.

OBS, 자본금 바닥··· 프로그램 경쟁력 저하

인천 지역 방송은 이른바 케이블 방송 사업자로 SK브로드밴드 인천방송, LG헬로티비 북인천방송, 남인천방송이 있고, 지상파로 OBS경인TV, KBS 경인방송센터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중 경인방송iTV의 후신 경인방송OBS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OBS는 공익적 민영방송을 표방하고 2007년 12월 29일 방송을 시작했다.

앞서 iTV 경인방송은 방송위 재허가를 받지 못해 2004년 문을 닫았다. 그 뒤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iTV 공익적 민영방송 실현 인천연대’가 생겼다. 이 단체가 ‘경인지역 새방송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 이 위원회는 시민 주주와 발기인을 모집해 OBS를 창립했다.

하지만 지금의 OBS는 1400억원에 달하는 자본금이 바닥나 제작비와 인건비를 축소했고 프로그램 경쟁력이 저하됐다.

방송을 송출하기 위해선 3년마다 방통위 허가 심사를 받아야 한다. OBS도 마찬가지로 창립이래 허가심사를 받아왔지만, 2019년 프로그램 추진 계획이 적절하지 않다는 이유로 '보류' 판정을 받았다.

보류 판정 이후 방통위는 OBS에 3년 안에 ▲본사 사옥 인천 이전 ▲연도별 제작비 499억원 수준 이상으로 투자 등을 조건으로 재허가를 내줬다.

‘OBS 인천 이전’은 OBS가 2007년 처음 방통위 허가를 받을 당시 조건 중 하나였다. 하지만 OBS는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 이번 2019년 재허가 심사를 받으면서 방통위가 단호한 카드를 낸 셈이다. 올해 12월까지 이행해야 한다.

인천 계양방송통신시설의 모습.(사진제공 인천시)
인천 계양방송통신시설의 모습.(사진제공 인천시)

OBS, 계양방송통신시설에 2022년 말까지 이전 추진

OBS는 현재 계양구 용종동 207-3번지 소재한 계양방송통신시설에 2022년말까지 본사를 이전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이 시설은 시와 옛 계양터미널 용지를 개발한 시행사가 협약한 개발이익으로 지어졌다. 시행사는 개발 이익으로 방송통신시설을 지어 시에 기부채납하고, 방송통신사업자가 시설과 장비를 들여와 운영하기로 했다.

2010년 민선5기 송영길 인천시장 취임 후 시는 ‘방송국 인천 유치’ 공약을 토대로 계양터미널 용지를 상업용지로 용도을 변경했다. 시행사는 협약에 따라 329억원을 들여 연면적 1만5562㎡ 규모로 공개홀과 스튜디오를 포함한 방송통신시설을 지어 시에 기부채납했다.

당초 시는 시설에 OBS를 유치할 계획을 세웠으나 OBS는 경영악화 등을 이유로 시에 방송시설 공사비 60억원과 금융권 자금대출(100억원)에 대한 보증을 요청했다. 시는 특혜라며 거부했다.

시는 계양방송통신시설 사용허가 공모 입찰을 했고, 세 번 유찰됐다. 그 뒤 2020년 11월 OBS가 입찰에 단독으로 참여해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시는 올해 계양방송통신시설을 리모델링을 진행하고 있다.

OBS 경인TV 본사.
OBS 경인TV 본사.

인천시민 '시청주권' 찾기 OBS만이 정답인가

‘OBS에 도움을 줘 정상화 시켜야 한다’라는 시민단체의 움직임이 있었던 반면 ‘OBS만이 과연 대안인가라는 문제의식도 나왔다. KBS인천총국 설립을 주창하는 움직임도 상당한 설득력을 얻었다.

KBS에 월 시청료 2500원을 내고도 인천시민은 인천 관련 뉴스를 방송에서 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KBS인천총국을 만들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게 핵심 논리다. 하지만 이는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한참 KBS인천총국을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2010년대 후반에 나왔다. 하지만 2020년 시가 OBS를 계양방송통신시설에 유치하는 것을 확정하면서 논의의 방향 다시 한번 틀어졌다.

‘OBS가 인천의 방송국으로 자리잡는다면 어떤 고민을 해야할까’라는 고민으로 흘렀다.

이광호 사무처장은 “왜 인천에서 방송주권, 시청주권을 이야기하나. 인천에 방송국이 없기 때문이라면, 인천지역 방송은 어떤 기획을 해야 할까라는 고민을 해야한다”며 “또 유튜브 등 미디어 환경이 바뀌고 있는 가운데, 시청주권을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