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 공항경제 위기 점검... “고용위기지역 돌아봐야”
영종도 사업체 매출 평균 56% 감소... 노동자 81% 소득감소
“인천시, 피해조사 착수해 공항경제권 보존 토대 구축해야”

인천투데이=이종선 기자 | 코로나19 이후 인천국제공항 경쟁력 회복이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영종도 공항경제권의 산업 역량을 최대한 보존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이른바 ‘V자’ 반등 토대를 만들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인천연구원은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산업·노동 위기 대응, 영종도 공항경제권 회복력 확보’ 보고서를 발표했다.

자료사진.(사진제공 인천연구원)
자료사진.(사진제공 인천연구원)

보고서는 인천 중구의 위기상황을 재점검하고, 고용위기지역 지정 실패 원인을 평가했다. 아울러 공항경제권 역량을 최대한 보존해 코로나19 이후 회복속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영종도 항공 여객·물류 관련 서비스업이 군집을 이루고 있어 코로나19에 따른 피해는 직격탄을 맞은 수준이다.

지난해 인천공항을 이용한 총여객 수는 1200만1379명(국내선 4만5623명, 국제선 1195만5756명)으로 최종 집계됐다. 2019년 7116만9722명(국내선 59만1672명, 국제선 7057만8050명)에 비해 83% 폭락했다. 지난해 총 항공편은 14만9480대로, 2019년 40만4104대에 비해 63% 감소했다.

해외 여객이 국내로 몰리면서 인천공항 외 국내 공항 여객운송은 상당부분 회복했다. 국내 주요 공항 3곳(김포공항·김해공항·제주공항)의 여객운송은 지난해 8월 기준 예년의 60% 수준을 기록했다.

그러나 인천공항은 답보상태다. 2019년 8월 인천공항 여객 수는 제주공항 여객의 두 배 이상이었으나, 지난해 8월에는 제주공항의 10%(인천공항 200만2751명, 제주공항 23만4958명) 수준이었다.

인천공항 경제적 타격, 중구 지역 전반으로 확대

이런 현상은 지역경제 전반으로 확대됐다. 2020년 상반기까지 국내 출국장 면세점 매출실적은 2019년 하반기와 비교했을 때 대기업 89%, 중소기업 97% 감소했다.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영종도에 소재한 기업 6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49개사가 2019년 대비 2020년 매출액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평균 매출액 감소 폭은 55.9%로 조사됐다. 현금 유동성은 43개사가 평균 5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운수노조 영종특별지부가 인천공항 노동자 53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1%가 코로나19가 소득이 감소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중 24%는 코로나19 이후 매일 불안감을 느끼며, 22.6%는 우울감을 겪는다고 밝혔다.

노동자들은 특별고용지원업종 고용유지지원금 제도는 사각지대가 광범위하다고 지적했다. 영종특별지부 설문조사에 응답한 노동자 530명 중 고용유지지원금 혜택을 받은 비율은 47.5%에 불과했다. 지원금 대상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인천공항 국제선 항공편 안내 전광판.
인천공항 국제선 항공편 안내 전광판.

보고서는 단순한 산업구조를 보이는 인천공항경제권이 외부충격에 약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중구의 허핀달-허쉬만 지수(HHI)는 0.3087로 인천에서 10개 군·구 중 2번째로 높다. HHI는 특정 산업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측정하는 지표다.

HHI가 높으면 산업적 다양성이 낮다는 뜻이다. 중구는 인천공항 중심의 운수업과 물류업 비중이 크고, 관련 기업 지배력이 매우 강한 편이다. 외부충격에 인천공항 관련 산업이 무너지면 중구 지역경제 전체가 붕괴하는 결과를 보인다.

이에 인천 중구와 인천시는 코로나19 1차 유행 단계였던 지난해 4월 중구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신청했으나, 10월까지 심사가 지연돼 실패했다.

기업과 노동자 유출로 산업생태계 자체가 손상되면 코로나19 유행의 종료 이후에도 지역경제가 회복되는 데 장기간 소요될 수밖에 없다.

코로나19 이후 V자 반등 위해 노동·산업 유출 막아야

다만, 인천공항은 제2여객터미널 2단계 사업이 진행 중이고, 외국인 투자가 시작된 만큼 봉쇄조치가 해제되면 V자 반등으로 위기 회복을 위한 조건은 충분하다. 따라서 더 이상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노동력과 산업자산을 보존할 토대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천연구원은 “인천시가 수년간 경제산업 분야 투자에 보수적인 재정운영 기조를 유지해왔다”며 “영종지역 사업체·노동자·소상공인 피해조사를 하고, 산업·노동위기 대응을 위한 민관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공항경제권 노동자 보호 프로그램 운영 ▲공항경제권 인적자원 역량 강화 계획 수립 ▲자체 경제·산엽 동향 관찰역량 강화 등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