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포동 공영주차장 2층 건물 설립추진에 주민 ‘지하화’ 요구
주민들, “돈 때문에 미래가치 포기하나” ··· 1인 시위 돌입
인천시·중구, “행정절차 끝난 상태 ··· 지하화 효율성 떨어져”

인천투데이=조연주 기자 | 인천 중구 신포동 주민들이 공영주차장 건설 사업을 반대하고 나섰다.

중구 신포동 주민자치위원회, 신포동 새마을 협의회, 자율방범대 등은 최근 '신포동 공영주차장 활성화 대책위원회'를 만들어 신포동 공영주차장 건축물 건설을 반대하고, 지하화를 요구했다. 이들은 지난 10일부터 중구청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중구는 신포동 일대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해 인천시 소유 신포동 공영주차장(해안동 4가 1-1번지 일원)의 주차면을 늘리는 사업을 진행중이다. 2001년 지어진 신포동 공영주차장은 주차면 71개의 지평식 주차장이다. 중구는 시비 56억 원을 받아 2021년 말까지 2층 3단(옥상) 형태의 건축물을 짓고 주차면을 163개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신포동 공영주차장 활성화 대책위원회가 지난 10일부터 신포동 공영주차장 지하화를 요구하며 1인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신포동 공영주차장 활성화 대책위원회가 지난 10일부터 신포동 공영주차장 지하화를 요구하며 1인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이곳은 인천시 문화재인 인천우체국과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는 ‘보존대상지’이기도 하다. 최근 중구는 문화재와 관련성, 조화로움 등을 고려한 ‘문화재 현상 변경 심의’를 통과했다. 

중구는 지난해 9월과 올해 1월 주민설명회를 열고 사업계획을 설명했다. 주민들은 이 자리에서 주차장을 지하화하고, 지면에는 공원을 조성해줄 것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대책위는 지난 23일 입장문을 통해 “신포 주차장 지하화 사업은 매번 정치인들의 공약에 포함될 정도로 주요한 사업이자, 주민들이 십수년을 기다려 온 지역의 최대 숙원 사업이다”이라며 “하지만 중구는 예산 등 이유로 구 지상 2층 주차장 건립이라는 방향성을 상실한 사업안을 만들어냈다”고 말했다.

이어 “(환경변화 등으로 인해) 현재 신포동 공영주차장 토지의 미래가치는 더욱 중요해졌다. 이곳이 공원화 되면 녹지 확보를 통한 원도심 정주여건 개선 효과와 미래 내항과 개항장 문화 관광지구를 잇는 허브 기능 역할을 할 것”이라며 사업 재검토를 요구했다. 

신포동 공영주차장은 인천시 문화재인 인천우체국 보존 대상지에 묶여있다.
신포동 공영주차장은 인천시 문화재인 인천우체국 보존 대상지에 묶여있다.

박상길 중구의회 의원(무소속, 가선거구)는 “당장의 돈 문제를 떠나 환경이나 후손들을 위해서 지하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전부터 주민들은 처음부터 이곳 주차장을 지하화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중구가 이곳에 건물을 세우겠다는 것은 뜬금없는 결정”이라며 “이곳은 주민에게 미래세대를 위해 개방된 공간으로 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장원 인천재능대 교수는 이를 두고 “주차건물 사업은 근본적인 문제해결이 아닐뿐더러, 역사문화 환경을 해치는 일”이라며 “신포동에 드문 개방공간이자, 시 문화재 옆에 붙어있는 곳에 ‘주차장 건물’을 짓겠다는 것은 역사·문화적으로도 환경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주차난은 이곳에 163면으로 늘린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차라리 조금 떨어진 1·8부두를 주차장을 만들어 해소할 수도 있는 문제다”라며 “10년만 지나도 주차장의 필요성을 재고하게 될 것이다. 이미 학계에서는 10년 뒤 사용률이 줄어들 주차장 공간에 대한 활용방안까지 논의되고 있는 실정이다. 당장 주차면이 없다고 급급해 하지 말고 길게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포동 공영주차장.
신포동 공영주차장.

하지만 인천시와 중구는 이미 모든 행정절차를 완료해 설계만을 앞두고 있으며, 주차난 현실적인 입장을 밝혔다.

시 교통관리과 관계자는 “지난해 행정절차를 모두 마친상태다. 이를 또다시 지하화 하는 방향으로 바꾸게 되면 예산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며 “또, 간척지 지반 문제 등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아져 사업이 지연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 교통운수과 관계자는 “주민들의 요구대로라면 사업비는 지금보다 약 4배 정도 늘어난 216억 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여기에 따른 투자 심사나 재임의 등 모든 행정절차를 다시 거쳐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며 곤란함을 표했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