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투데이│인천 앞바다가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해마다 반복되는 문제인데, 올해는 오랜 장마와 집중호우로 더 심하다. 한강과 임진강 등에서 밀려온 쓰레기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집중호우가 시작된 7월 말 이후, 한강 하구 김포반도와 강화도 사이 염하에 설치돼있는 부유물 차단시설에서 건진 쓰레기만 수백톤에 달했다. 이 차단시설을 그냥 통과한 쓰레기는 환경정화선 투입과 공공근로사업으로 수거하는데, 최근까지 정화선이 수거한 쓰레기만 17톤가량 됐다.

정해진 수거 공정을 보면, 우선 한강 하류에서 1차로 거른다. 여기를 빠져나와 염하로 흐르는 부유물을 강화도 초지대교 부근에 설치한 차단막에서 수거한다. 여기선 주로 갈대와 큰 잡목이 걸러진다. 여기서도 빠져나간 부유물은 정화선이 수거하는데, 석모도와 교동도로 빠진 부유물은 제대로 수거하지 못하고 있다.

염화와 강화도 북단을 빠져나온 부유물 중 옹진군 북도면과 덕적군도, 서해 5도 해안에 밀려든 것들은 공공근로사업으로 치운다. 이는 유인도에만 해당한다. 그마저 섬 주민들이 대부분 고령이라 접근이 어려운 곳은 방치되기 일쑤다.

무인도 바다 부유물은 정화선을 투입해 수거하는데, 해역이 워낙 넓다보니 한계가 있다. 인천의 무인도는 120개가 넘는다. 많은 부유물이 사실상 방치된다.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들지 못하게 하는 게 기본이다. 중국에서 내려오는 경우도 많고, 이번처럼 집중호우 시에는 차단이 불가능한 게 현실이지만, 한강 등에서 유입되는 부유물을 최소화해야한다.

그 다음은 바다로 흘러든 부유물을 효율적으로 수거ㆍ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장마철인 6~8월은 어민들의 금어기와 겹친다. 이 시기 어촌계나 선주협회 등과 협약해 무인도 등의 부유물을 수거할 수 있다. 결국,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대책을 마련해야하며, 그에 필요한 인력과 재정을 투입해야한다.

아울러 관리대책 수립과 실행의 전제는 해양 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것이다. 현재 인천 앞바다 유인도에 유입된 쓰레기 수거ㆍ처리 비용을 수도권 지방자치단체들이 분담하고 있지만, 그 예산으론 턱없이 부족하다.

원인자인 수도권 시민들은 해양 오염의 심각성을 피부로 느끼지는 못한다. 수도권 지자체의 부담액을 늘리고 시민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한다.

박남춘 시장은 최근 인천 앞바다 쓰레기 유입의 원인 분석을 관련부서에 지시하는 한편, 쓰레기 발생 원인자에게 해양오염 방지대책과 처리비용 부담을 강력하게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이게 말뿐이 아니라, 실행으로 나타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