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재식 인천상공회의소 서북부사무소장
최근 서민경제가 어렵다는 말이 회자되면서 경제관련 화두는 단연 ‘일자리 창출’이라 하겠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해 지방선거 이후 지방자치단체마다 이른바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의 육성과 지원 정책을 내놓으면서 사회적 기업을 연계한 일자리 창출에 의욕을 보이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에 기초한 것으로, 비영리조직과 영리기업의 중간성격으로 운영된다. 일반적인 기업이 이윤을 추구한다면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나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추구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빵을 판매하기 위해 고용하는 것이 아니라 고용하기 위해 빵을 파는 기업’으로 일자리 창출과 같은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면서 이윤을 창출하고, 창출된 이윤을 사회적 목적에 재투자하는 기업을 말한다.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서 지자체들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관심과 지원도 큰 몫을 차지하고 있는데, 인건비 지원, 세제 혜택, 사업개발비 지원, 전문적인 경영컨설팅 무상 지원 등을 통한 시장경쟁력 제고와 사회적 기업의 생산품 홍보와 우선 구매로 기업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등 사회적 기업의 육성, 확장을 지원하고 있다.

인천시의 경우 송영길 시장은 ‘2010인천지방선거연대’와 야3당이 합의한 정책의 하나로 ‘사회적 일자리 지원센터’ 설립을 통해 사회서비스분야를 중심으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했다. 2010년 말 현재 전국에 사회적 기업 501개가 있는데, 경인지역이 235개로 전체의 47%를 차지하며 인천은 33개(6.6%)가 있다. 주요 업종은 환경, 문화ㆍ예술, 간병ㆍ가사 지원, 사회복지 등 취약계층을 위한 일부 사회서비스 업종에 치중돼있다.

인천의 사회적 기업 33개는 서울(113개), 경기(89개)보다는 적고, 부산(25개), 대구(23개)보다는 많고, 강원(31개)과 비슷해 16개 광역시ㆍ도 중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09년의 14개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지자체별로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는 것을 방증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인천시 남구는 ‘사회적 기업 육성센터’를 출범시켜 사회적 기업을 확산시키는 데 선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우리 부평구에는 보건복지, 청소용역, 제조업, 도매업, 문화?예술분야 등 다양한 분야의 사회적 기업 6개가 있는데, 문화?예술분야의 사회적 기업이 큰 비중(2개)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예비 사회적 기업으로 현재 3개를 지정, 육성하고 있다.

부평구에서 가장 먼저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 받은 사회복지법인 핸인핸(2007년, 고용노동부에서 인증, 부평6동)은 장애인근로사업장으로 각종 칫솔을 생산, 자체 상표와 PB(Private Brand)상품으로 롯데마트와 GS마트에서 판매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장애인생산품 품질인증과 인천시 품질우수 추천 제품으로 지정되는 등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또한 지난해 인증 받은 문화ㆍ예술분야의 ‘전통연희단 잔치마당(십정2동)’과 ‘신나는 문화학교 자바르떼(부평동)’는 공연예술 활동과 청소년 문화예술 교육활동, 소극장 운영, 찾아가는 문화예술 활동 등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분야의 사회적 기업은 인천의 33개 중 2개인데, 부평지역에만 2개가 있어 부평구만의 특화된 사회적 기업으로서 발전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직까지 사회적 기업의 개념이 무엇인지, 성공사례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정책과 실천과제는 무엇인지, 지역경제와 경제정책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등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지만, 노력과 의지를 모은다면 발전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향후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중간지원조직을 만들어 지자체의 참가와 협력을 통해 성공사례와 정보 교환, 중앙정부로부터 자금 조달 등을 통해 효과적인 사회적 기업 지원을 실현하는 게 필요하다. 또한 민간경제조직 차원의 가칭 ‘사회적 기업 경영지원센터’를 만들어 영세ㆍ소규모 사회적 기업의 창업ㆍ영업ㆍ경영ㆍ금융 등 경영 제반분야에서 교육과 컨설팅상담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대학 내에도 사회적 기업 연구센터를 설립, 기존의 사회복지분야와 교육 및 보육서비스 분야, 도시와 농촌 간 협력을 통한 개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제 사회적 기업을 단순히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창출 수단이 아니라 지역사회 문제 해결의 동반자로서, 산업정책의 수단으로서, 더 나아가 서민생활 안정과 사회발전의 주체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모두가 지혜를 모아야할 때이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