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이 부평 캠프마켓에서도 유독성 폐기물을 대량으로 불법 처리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캠프마켓 인근 주민 등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는 물론 정치권과 지자체는 기지 내 환경오염조사 실시를 한미당국에 촉구하고 나섰다. 지난 28일, 시민·환경단체들과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야 3당, 그리고 부평구는 캠프마켓 정문 앞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즉각적인 조사 실시와 미군의 오염의 치유, 조속한 기지반환과 한미주둔군지위에 관한 행정협정 개정 등을 촉구했다.

인천시는 27일 관련 대책회의를 열고 민·관·군 공동조사단을 구성하기로 했고, 지방자치단체가 개입하기 어려운 기지 내 환경조사를 정부가 추진하도록 국무총리실에 건의했다. 시는 이와 함께 캠프마켓 주변의 토양과 지하수, 지표수 오염정도를 재조사하고 부평구에도 토양오염 조사 시기를 앞당기도록 했다.

29일에는 인천시의회가 전체 의원 38명 중 37명의 서명을 받아 정부에 캠프마켓 환경오염 조사를 촉구했으며, 한나라당 인천시당도 같은 날 진상조사특위를 구성했다.

주한미군이 반세기 넘는 기간 동안 각종 폐기물을 정상적으로 처리하지 않았을 개연성은 높다. 주한미군은 남한에서 독점적이고 우월적인 지위를 누려왔고, 그들이 출입금지의 땅 기지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좀처럼 알 수 없었다.

부평기군기지 반환 결정 이후 수년이 지난 2009년에서야 미군부대로 인한 환경조사가 실시됐지만, 기지 주변 조사로 그쳤다. 특히 주변 지역 상당한 곳에서 토양과 지하수가 오염된 것으로 조사됐지만, 그 오염 원인을 밝히는 데 한계가 분명했다. 미군의 동의 없이는 기지 내 환경조사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당시 환경공단이 실시한 기지 주변 오염조사 결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벤젠,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검출됐다. 테트라클로로에틸렌과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은  발암물질이다. 그러나 검출된 이들의 수치는 환경공단이 제시한 요약 보고서에 명시돼있지 않았다. 환경공단은 명확한 원인자를 규명하기 어렵다고 보고서에 적시할 뿐이었다. 

또한 지난 1991년 미군 공병단 내 건설연구소가 외부용역을 통해 발간한 ‘미8군과 주일미군의 위험폐기물 최소화 방안’이란 제목의 문서는 1987∼89년 캠프마켓이 처리한 폐기물의 구체적인 양을 기록하고 있다. 이 문서엔 폴리염화비페닐(PCBs) 448드럼을 한국 처리업자를 통해 처리한 것으로 기록돼있는데 구체적 처리 방법과 결과는 나타나있지 않다. 폴리염화비페닐은 맹독성 유해물로 다이옥신ㆍ고엽제로 바뀔 수 있다.

캠프마켓에는 주한미군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설이 있다. 그동안 유독성 폐기물도 처리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정말로 치명적인 수준의 환경오염행위가 이뤄졌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가 떠안아야 한다. 미군이 기지 내 오염조사를 거부하는 건 의혹을 더욱 크게 하는 일이다. 하루 빨리 진상을 규명해야한다. 그 길은 철저한 기지 내 오염조사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