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거의 모든 초·중·고등학교가 여름방학에 들어갔다. 하지만 인천지역 대다수 중학교에서 강제적으로 교과목 위주의 보충수업을 진행해 방학이 ‘방학이 아닌’ 상황이다.

방학의 사전적 의미는 ‘학교에서 한더위나 한추위 때, 다음 학기 초까지 일정 기간 수업을 쉬는 일’이다. 심신이 쉽게 지칠 수 있는 무더위 속에서 수업이 오히려 역효과를 내기 때문에 무더위를 피해 심신을 충전할 수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여름방학 보충수업 강제 추진 논란이 일자, 인천시교육청은 지난 2일 ‘방과후학교 운영방침’에 맞게 추진하라는 공문을 내려 보냈다. 하지만 일선 학교는 이를 지키지 않고 있다. 방과후학교 운영방침의 기본은 학생과 학부모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라는 것이고, 학생들의 특기적성을 살리는 방향에서 하라는 것이다.

그러나 어느 중학교에선 보충수업을 희망하지 않는 학생들을 오후 7시까지 학교에 남겨서 청소를 시키고, 수행평가에서 0점을 주겠다고 협박하기도 했다는 학생들의 증언이 나왔다고 한다.

학생들은 ‘왜 학생들의 의사를 존중해주지 않는지 모르겠다. 이렇게 강제적으로 하면 방과후학교를 하는 게 더 싫어진다’고 하소연할 정도다. 정부가 학교(장)의 자율권을 강화한다고 하는데, 역으로 학생들의 자율권은 사라지고 없다.

억지로 학교에 잡아둔다고 공부를 하는 건 아니다. 지난 1학기에 인천지역 중학생 10명 중 8명이 ‘7교시 방과후학교’에 참여했던 것으로 조사됐는데, 전교조 인천지부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응답한 중학생 10명 중 7명은 ‘7교시 방과후학교가 성적향상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고 스트레스만 쌓였다’고 답했다.

교과목 실력이 조금이라도 늘었다는 답변은 7%, 사교육비가 감소돼 부모님께 경제적 도움이 됐다는 답변은 0.7%가 고작이었다. 결국 학교에서 보충수업을 하더라도 별도의 사교육은 그대로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교육의 획일성이 개인의 인성과 창의력을 짓눌러 결국 국가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은 이미 교육계 안팎에서 많이 있었다. 하지만 교육 관료들은 교육이 획일적일 수밖에 없도록 하는 입시경쟁, 성적위주의 낡은 시스템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아니 애써 유지하려한다는 표현이 어울릴 것이다. 여기에 일선 학교장들이 동조하고 있다.

방학 동안에도 학생들을 강제적으로 보충수업에 가둬두려는 것은 성적위주의 또 다른 양상인 학교서열을 염두에 놓은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 학생 개개인의 인권과 창의성을 생각한다면, 행복한 삶을 위한다면 학교 간 경쟁에 학생들만 희생당하게 내버려두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강제 보충수업이 효과가 없다는 학생들의 평가를 교육당국과 일선학교에서 허투루 바라보지 않길 바란다.
저작권자 © 인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